무늬만 '녹색채권' 경보…"공시 강화해야" 목소리

이용내역·환경개선 효과
모두 공시사례 57% 그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발행 후 공시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의 공시 수준으로는 조달한 자금을 얼마나 환경 개선 목표 등에 부합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1일 자본시장연구원 등에 따르면 ESG 채권 시장에서 ‘그린워싱(겉으로만 친환경을 내세우는 행위)’에 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ESG 채권 발행 급증과 더불어 환경 개선 효과를 알 수 없거나 별다른 노력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의 목표를 내세우는 발행 기업이 늘고 있어서다.국제기후채권기구(Climate Bonds Initiative: CBI)가 최근 내놓은 2021년 2차 조사 결과를 보면 녹색채권 발행 주체 중 자금 이용내역과 환경영향을 모두 공시하는 사례는 57%에 불과했다. 자금 이용내역을 공시한 곳이 77%로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환경영향을 공시한 곳은 59%에 그쳤다. CBI는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에서 ESG 채권 발행 자금을 어떤 프로젝트에 얼마나 투입했는지, 그 기대 효과가 얼마인지를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공시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최순영 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현재 발행 후 공시에서 사용되는 영향 분석도 발행 주체에 따라 제공하는 수치와 분석 방법론이 각기 다른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ESG 채권 간 기대 효과를 비교하기 쉽지 않고 영향의 종합적 집계가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올 상반기 글로벌 ESG 채권 발행 규모는 4951억달러(약 587조원)로 지난해 전체 발행 규모의 87%에 달했다. 글로벌 ESG 채권 시장은 2016년 972억달러에서 2020년 5701억달러로 연평균 1.6배씩 증가했다. 최 연구위원은 “ESG 채권 시장 발전을 위해 발행 후 공시 정보와 영향 측정 수치, 분석 방법론의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