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 -0.7%…"해외 배당 소득 감소 때문"
입력
수정
지난 3분기(7∼9월)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해외 배당 소득 감소로 다섯 분기 만에 뒷걸음쳤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NI는 2분기보다 0.7% 줄었다. 작년 2분기(-2.0%) 이후 첫 마이너스(-) 전환이다.
GNI는 한 나라 정부·기업·가계 등 경제주체들이 생산한 재화·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모두 합한 국내총생산(GDP)에 해외에서 벌어들이거나 손실을 본 부분까지 반영한 개념이다.
물가 상승분이 이미 반영된 명목 GDP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면 명목 GNI, 물가 변동 부분을 반영하지 않은 실질 GDP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과 실질무역손실을 반영하면 실질 GNI를 구할 수 있다. 3분기 명목 GNI는 2분기보다 0.1% 증가했다.
배당 등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3개월 사이 9조5천억원에서 3조2천억원으로 줄면서 명목 GNI 증가율이 명목 GDP 성장률(1.4%)보다 낮아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질 GNI의 경우, 실질무역손실(10조9천억원)은 2분기와 비슷했지만 역시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8조8천억원에서 4조원으로 급감하면서 증가율(-0.7%)이 실질 GDP 성장률(0.3%)을 크게 밑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3분기 명목 GNI 증가율이 낮아지고 실질 GNI가 감소한 데는 법인 등이 해외로부터 받은 배당소득이 2분기보다 줄어든 영향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분기 중 6월의 배당소득수지는 16억5천만달러 흑자였던데 비해 3분기 중 9월의 배당소득수지는 1천만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두 시점 모두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흑자 규모가 커졌거나 적자를 벗어났다. GNI 감소가 당장 가계의 소득이 줄었다는 뜻은 아니다.
표현이 '국민' 소득일 뿐 GNI에는 정부·기업·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의 소득이 합산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여러 나라의 1인당 GNI 등을 비교할 경우에는 보통 실질 GNI를 쓰지 않고 명목 GNI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명목 GNI는 3만1천881달러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NI는 2분기보다 0.7% 줄었다. 작년 2분기(-2.0%) 이후 첫 마이너스(-) 전환이다.
GNI는 한 나라 정부·기업·가계 등 경제주체들이 생산한 재화·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모두 합한 국내총생산(GDP)에 해외에서 벌어들이거나 손실을 본 부분까지 반영한 개념이다.
물가 상승분이 이미 반영된 명목 GDP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면 명목 GNI, 물가 변동 부분을 반영하지 않은 실질 GDP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과 실질무역손실을 반영하면 실질 GNI를 구할 수 있다. 3분기 명목 GNI는 2분기보다 0.1% 증가했다.
배당 등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3개월 사이 9조5천억원에서 3조2천억원으로 줄면서 명목 GNI 증가율이 명목 GDP 성장률(1.4%)보다 낮아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질 GNI의 경우, 실질무역손실(10조9천억원)은 2분기와 비슷했지만 역시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8조8천억원에서 4조원으로 급감하면서 증가율(-0.7%)이 실질 GDP 성장률(0.3%)을 크게 밑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3분기 명목 GNI 증가율이 낮아지고 실질 GNI가 감소한 데는 법인 등이 해외로부터 받은 배당소득이 2분기보다 줄어든 영향이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분기 중 6월의 배당소득수지는 16억5천만달러 흑자였던데 비해 3분기 중 9월의 배당소득수지는 1천만달러 수준이었다.
하지만 두 시점 모두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흑자 규모가 커졌거나 적자를 벗어났다. GNI 감소가 당장 가계의 소득이 줄었다는 뜻은 아니다.
표현이 '국민' 소득일 뿐 GNI에는 정부·기업·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의 소득이 합산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여러 나라의 1인당 GNI 등을 비교할 경우에는 보통 실질 GNI를 쓰지 않고 명목 GNI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명목 GNI는 3만1천881달러 수준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