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기…신규 대출은 고정금리가 유리"
입력
수정
지면A10
이자부담 줄이려면…‘기준금리 0%대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초저금리에 익숙했던 금융 소비자들도 대출 운용 계획을 재점검할 시점이 됐다. 한국은행을 비롯해 주요국 중앙은행이 속속 돈줄을 죄면서 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단기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일부 은행에선 변동형 대출금리가 고정형 금리보다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상품을 면밀히 비교해야 이자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주담대 변동·고정금리차 축소
내년 기준금리 최소 2회 올릴 듯
고정금리로 대출 갈아탈 땐
가산금리·중도상환수수료 봐야
금리 상승기에 새로 대출받을 땐 혼합형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단연 유리하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나 단기 금융채에 따라 6개월~1년마다 금리를 재산정하는 변동금리 상품은 금리 인상분이 고스란히 대출 이자에 반영된다. 반면 고정금리 상품은 5년간 기준금리에 변동이 없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최근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대출 간 금리 차는 좁혀지는 추세다. 3일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개인신용 3등급 기준)를 보면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59~5.00%, 금융채 5년물 기준 혼합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연 3.56~5.08% 수준이다. 아직은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지만, 지난 5월 0.5%포인트 전후까지 벌어졌던 격차가 최근 0.1%포인트 이내로 줄었다. 하나·신한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고정금리를 추월했다. 지난달 25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단기금리는 오르고 장기금리는 오히려 소폭 내렸기 때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최소 두 차례(0.5%포인트) 인상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만큼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미 변동금리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차주라면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걸 고려할 만하다. 그러나 우선 현재 적용받는 금리 구조와 가산금리를 확인해봐야 한다. 통상 대출금리는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금리’로 구성된다. 변동형 금리는 기준금리의 움직임에 좌우될 뿐 가산금리는 대출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 처음 대출을 일으킬 당시 책정된 가산금리가 대출을 갈아타려는 시점의 가산금리보다 현저하게 낮다면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고려해도 갈아타지 않는 게 나을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본인의 가산금리가 어느 수준인지 먼저 파악하고 유불리를 따져야 한다”며 “은행 영업점에서 다시 상담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대출을 갈아탈 땐 중도상환수수료와 대출 가능 금액을 확인하는 것도 필수다. 대출을 처음 받은 날로부터 3년이 아직 지나지 않았다면 상환금액의 1.2% 정도를 수수료로 내야 해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다만 대부분 은행은 소비자가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처음 갈아탈 때에 한해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대출 한도도 중요한 변수다. 갈아타는 시점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의 대출 규제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대출 이후 DSR과 담보인정비율(LTV) 규제가 더 강화됐다면 대출 가능 금액이 줄었을 수 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