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은의 생명의학] 병원이 '바이오헬스 창업' 전진기지 돼야 한다
입력
수정
지면A37
글로벌 의료·바이오 시장 한국은 0.8% 불과8조달러 규모의 세계 의료·바이오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0.8%에 그치고 있다. 정보통신 시장(4조달러)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8.5%)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 전 세계 경제 규모(80조달러)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비중(1.9%)에도 한참 미치지 못한다. 바꿔 말하면 정보통신산업의 두 배 규모인 의료·바이오 시장은 우리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공공에만 허용된 기술지주 설립, 병원에 개방
바이오헬스벤처에 전략적 투자 가능토록 해야
김상은 < 서울대 의대 교수·비아이케이테라퓨틱스 대표 >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형 자동차, 시스템 반도체와 함께 3대 주력 산업으로 선정하고 중점 지원하고 있다. 바이오벤처 창업에 대한 정부의 제도·재정적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민간 투자도 늘어나 지난해 국내 바이오벤처 투자금액은 1조1970억원으로 2년 연속 1조원을 돌파했다. 바이오벤처의 양적·질적 성장도 눈부시다.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수출 계약금액은 10조1492억원에 달했다. 전체 13건의 기술수출 중 9건은 바이오벤처가 이뤄냈으며 총 계약금액의 75% 이상을 차지했다.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국내 창업 성장 인프라와 생태계는 여전히 열악하다. 특히 바이오 스타트업은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연구 인력, 시설, 설비, 장비 등 연구개발 인프라 의존도가 높다. 또 기술 실증을 위해 개발 기술의 잠재적 공급자(의료진) 및 수요자(환자)와의 접점이 반드시 필요하다. 병원은 연구개발 인프라와 기술 실증의 접점을 제공함으로써 바이오헬스 창업 성장 생태계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
국내 대학병원급 병원들은 진료 일변도의 운영에서 벗어나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이들 병원에는 임상 진료 의사와 함께 의과학 연구에 종사하는 박사급 연구자만 18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의과학 기초·응용·개발 연구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를 최첨단급으로 갖추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질 좋은 보건의료 데이터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적·기술적 역량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의료 제품과 서비스의 최종 사용처인 병원은 미충족 수요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 아이디어가 넘쳐나는 기술 실증의 현장이다. 병원이 바이오헬스 창업 성장의 전진기지가 돼야 하는 이유다.
정부는 연구중심병원 사업,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 바이오 거점시설 구축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병원이 보건의료 창업 플랫폼 역할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재정적 지원 위주의 단순 지원에 그쳐 민간 병원의 자발적·능동적 참여와 눈에 띄는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2013년 도입된 연구중심병원은 연구기반 확충, 기술 실용화, 산업 지원 등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으나 2019년 10개 연구중심병원의 기술이전 수입은 143억원으로 총연구비(8837억원)의 1.6%에 그쳤다. 연구중심병원발 창업 기업 수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모두 81개로 연구중심병원 한 개가 연간 한 개 남짓의 기업을 창업한 셈이다.국내 병원이 바이오헬스 창업 성장에 발벗고 나서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를 유인하는 제도적 장치를 갖춰야 한다. 먼저 대학·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에 허용돼 있는 기술지주회사 설립을 병원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망한 바이오헬스 스타트업을 병원 의료기술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하면 튼튼한 이해관계를 토대로 병원에 조성돼 있는 인프라와 생태계를 활용해 장기적인 성장 플랜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스타트업의 성장에 따른 의료기술지주회사의 수익을 의료 기술과 서비스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과 교육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서 파트너스이노베이션펀드, 메이요클리닉벤처스 등 해외 병원 사례와 같이 국내 병원도 벤처펀드를 조성해 바이오헬스벤처에 전략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병원과의 협업이 필수적인 바이오헬스 스타트업에 연구개발 인프라와 의료 네트워크 등 창업 성장 생태계를 제공해 기존 벤처캐피털이 할 수 없는 전문성 기반의 차별화된 지원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병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바이오 기술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 전문가 정신과 혁신 의지로 무장한 한국 병원이 최고의 임상 진료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 창업 성장 생태계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아 의료·바이오산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 완화 등 제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