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5년내 신혼부부 절반가량 자녀없어…무주택·맞벌이 증가

유자녀 신혼부부 55.5%로 2%p↓·평균 자녀 0.68명…0.03명↓
주택 소유 비중 줄었는데 대출은 18% 늘어…신혼부부 수 6% 감소
무주택보다 유주택, 맞벌이보다 외벌이가 자녀 많아
결혼 1∼5년 차 신혼부부 가운데 거의 절반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을 소유한 신혼부부 비중(42.1%)은 전년보다 0.8%포인트 줄었는데 신혼부부가 보유한 대출잔액은 1억3천여만원으로 18% 이상 늘었다.

통계청은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신혼부부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혼인을 신고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가 대상이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55.5%로 1년 전보다 2.0%포인트 떨어졌다.

평균 자녀 수는 0.68명으로 0.03명 줄었다.

자녀가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2015년 64.5%에서 2016년 63.7%, 2017년 62.5%, 2018년 59.8%, 2019년 57.5% 등으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5년 차 부부로 좁혀 봐도 5쌍 중 1쌍꼴로 자녀가 없었다.

지난해 5년 차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20.4%로 1년 전보다 2.1%포인트 늘었다.

평균 자녀 수는 주택을 소유한 부부(0.76명)가 무주택인 부부(0.62명)보다, 외벌이 부부(0.76명)가 맞벌이 부부(0.60명)보다 많았다. 초혼 신혼부부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42.1%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줄었다.

자가 보유 비중이 줄었지만 신혼부부의 대출 잔액은 오히려 늘었다.

대출이 있는 초혼 신혼부부의 비중은 87.5%로 1.7%포인트, 이들의 대출 잔액 중앙값도 1억3천258만원으로 전년보다 18.3% 증가했다.

집값과 전셋값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부 합산 연간 평균 근로·사업소득은 5천989만원으로 1년 전보다 4.9% 늘었다.

소득의 중앙값은 5천300만원으로 3.7% 증가했다.

3천만원 이상 5천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는 23.3%로 가장 많았다.

합산소득이 7천만원 이상인 부부는 31.1%였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맞벌이 부부 비중은 52.0%로 전년보다 2.9%포인트 늘었다.

모든 연차에서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많아진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맞벌이 가구의 평균 소득은 7천709만원으로 외벌이 부부(4천533만원)의 약 1.7배였다.
자녀뿐 아니라 신혼부부 수 자체도 줄었다.

지난해 신혼부부는 118만4천쌍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특히 결혼 1년 차 부부가 9.4% 줄었다.

전반적으로 혼인이 감소하는 추세인데다가 작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결혼을 미루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연차가 낮을수록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초혼 신혼부부가 만 5세 이하 자녀를 키울 때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비중은 48.5%로 전년보다 1.8%포인트 줄었다.

맞벌이 부부는 어린이집(53.2%)이 가정양육(40.3%)보다 많고, 외벌이 부부는 가정양육(49.0%)이 어린이집(44.6%)보다 많았다.

초혼 신혼부부의 주된 주거 유형은 아파트(71.7%)다.

아파트 거주 비중은 전년 대비 1.9%포인트 늘었다.

신혼부부의 범위를 혼인 7년 이내로 넓혀보면 자녀가 있는 부부는 전체의 67.1%이고, 평균 자녀 수는 0.98명이었다.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48.2%이고, 맞벌이 비중은 48.3%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