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 작년 자살·교통사고·범죄 사망자 모두 줄었다

행안부, 전국지역안전지수 발표…감염병 사망자 31.5% 증가
"자살감소, 사회적 긴장 영향"…감염병·화재·생활안전 사망자는 증가
서울 3개·경기 4개 분야 안전지수 1등급…경북 범죄·경남 감염병 '안전'

작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자살, 교통사고, 범죄로 인한 사망자가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전년 대비 30% 이상 늘었음에도 전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소폭 감소했다.

서울과 경기는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했다.

범죄는 세종과 경북이, 자살은 세종과 경기가, 감염병은 세종과 경남이 안전도가 높았다. 행정안전부는 9일 2020년 통계를 기준으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별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안전수준을 나타내는 2021년 지역안전지수를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에 공표했다.
◇ '사회적 긴장' 원인, 자살 사망 감소…연령·성별 분석 필요
행안부 자료를 보면 6개 안전 분야 전체 사망자 수는 전년 2만3천94명에서 2만2천989명으로 105명(0.45%) 줄었다.

교통사고, 범죄, 자살 분야에서 911명(1만7천350명→1만6천439명)이나 사망자가 감소한 영향이다. 특히 자살자 수는 1만3천779명에서 1만3천195명으로 604명(4.4%) 줄었다.

이는 34세 이상 연령층의 자살률 감소(9.4% 하락)에 기인한 것이다.

국가적 재난시기에 국민적 단합과 사회적 긴장으로 일정 기간 자살 사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고 행안부는 추정했다. 다만 자살 사망 감소 통계에 대해서는 연령대별, 성별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통계청의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보면 작년 20대(12.8%)와 10대(9.4%), 30대(0.7%) 등 30대 이하에서 자살률은 오히려 상승했다.

특히 20대 여성 자살률이 16.5%, 10대 남성 자살률이 18.8%나 증가했다.

여전히 한국은 연령표준화 자살률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1위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이 지난 뒤에는 오히려 자살 사망자 수가 급증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교통사고 사망자는 15.9%(3천143명→2천858명) 감소했다.

범죄 분야에서는 5대 범죄(살인·강도·절도·성폭력·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자 수가 5.4%(408명→386명) 줄었고 발생 건수도 6.5%(49만2천290건→46만2천290건) 감소했다.

교통사고, 범죄 사망자가 줄어든 것에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이동 감소와 술집 등 유흥시설 영업시간 제한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코로나19와 연계한 자살 예방사업이 자살 사망자 감소 원인으로 추정된다"며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의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 감염병 사망 31.5% 증가…안전사고 사망자 수 OECD 중간 수준
반면, 감염병, 화재, 생활안전 분야 사망자는 증가했다.

감염병 분야는 작년 코로나19로 95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31.5%인 664명(2천110명→2천774명) 사망자가 늘었다.

특히 인구밀집도가 높은 특·광역시와 대도시권에서 사망자가 많이 나와 이들 지역의 전년 대비 사망자 발생률이 36%를 기록했다.

법정 감염병 중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는 15.8%(1천610명→1천356명) 감소했다.

화재 분야 사망자는 전년 대비 26.3%(73명) 늘었는데, 경기 이천 물류센터 신축공사장 화재나 용인 물류센터 화재 등 대형 화재 사건이 발생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생활안전 분야 사망자는 전년 대비 2.1%(69명) 증가했다.

행안부는 전체 안전사고 사망자 수가 OECD 다른 나라에 비해 개선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안전사고 사망자 수를 공개한 OECD 회원국 11개 국가 중 한국은 5위 수준이었다.

특히 교통사고와 결핵·에이즈 사망자 수에서 개선 정도가 컸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7년 인구 10만명당 2.9명에서 작년 0.5명으로 줄었다.

결핵과 에이즈 사망자 수는 같은 기간 1.7명에서 0.4명으로 감소했다.
◇ 안전 1등급, 서울·경기·세종·인천연수·구리·증평·계룡 많아
행안부는 각 지자체에 대해 사망자와 피해자 수, 안전 장비 설치 수준, 관련 인력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6개 분야별로 1~5등급을 매겼다.

1등급이 가장 안전도가 높고 5등급은 가장 낮다.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서울(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과 세종(범죄·자살·감염병)이 각각 3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다만 서울은 범죄와 감염병 분야에서 4등급으로, 세종은 생활안전 분야에서 5등급으로 각각 분류됐다.

도 지역 중에서는 경기도가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등 4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가장 안전한 곳으로 평가받았다.

제주는 화재, 범죄, 생활안전 등 3개 분야에서 5등급을 받았다.

경북은 범죄, 경남은 감염병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고, 전남은 교통사고에서 최하등급인 5등급으로 평가됐다.

광역지자체의 구 지역 중에서는 인천 연수구가 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 등 4개 분야에서 1등급을 얻어 성적이 가장 좋았다.

또 서울 양천구(화재·범죄·생활안전), 울산 북구(범죄, 자살, 감염병)가 각각 3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반면 부산 동구는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5등급을 받아 성적이 가장 나빴다.

대구 중구는 교통사고, 범죄, 생활안전, 감염병 등 4개 분야에서, 서울 종로구, 부산 중구, 부산 강서구, 대구 서구는 3개 분야에서 각각 5등급으로 판정됐다.

기초지자체의 시와 구 중에서는 부산 기장군이 범죄(5등급)를 제외한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아 성적이 가장 좋았다.

충북 증평, 충남 계룡, 경기 구리도 4개 분야에서 1등급을 얻었다.

성남, 원주 등 17개 시, 인제, 옥천 등 12개 군, 서울 광진, 인천 계양 등 13개 구는 4~5등급의 하위 등급이 하나도 없었다.

행안부는 이번 조사에서 전년 대비 등급 개선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3%, 취약해 개선이 필요한 지역에는 2%의 소방안전교부세를 각각 지원할 계획이다. 낮은 등급을 받은 지자체들에는 진단 컨설팅을 제공해 안전 수준을 높일 방법도 모색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