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금융허브 월가·런던시티·홍콩…글로벌 금융社·기관 몰린 곳
입력
수정
지면S2
명실상부한 ‘아시아 금융허브’였던 홍콩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홍콩에 거점을 둔 미국 기업 수가 18년 만에 최소 수준으로 줄었고, 미국 기업이 떠난 자리는 중국 기업이 채우고 있다. 홍콩 통계처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홍콩에 아시아·태평양 등 지역본부를 둔 미국 기업은 254개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2003년(252개) 후 최저치다. 대신 중국 본토기업이 1년 새 5% 늘어 252개를 기록했다.
홍콩은 세계 3대 기업공개(IPO) 시장 지위에서도 밀려났다. 올 들어 홍콩 증시에서 IPO로 조달된 자금은 378억달러로 미국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이어 4위였다. 지난해까지 세 손가락 안에 들었으나 올해는 순위가 떨어졌다.
자타공인 ‘최고의 금융허브’는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다. 지도상으로 브로드웨이에서 이스트리버에 이르는 이 지역에는 미국 증권거래소와 어음교환소, 뉴욕연방은행, 시티뱅크, 체이스맨해튼, 모건스탠리 등 핵심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본사가 집결했다. 유럽 금융의 중심지로는 영국 런던이 꼽힌다. 여의도보다 작은 행정구역인 시티(City)라는 곳에 금융회사 사무실이 수천 개 몰려 있다.
영국과 미국은 금융패권 1인자 자리를 놓고 치열한 자존심 싸움을 벌여왔다. 전통 제조업 중심의 성장에서 한계를 맞닥뜨린 선진국들은 서비스업, 그중에서도 수익성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금융업을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중국과 중동의 기세가 무섭다. 경제력 급성장과 핀테크 창업 열풍에 힘입어 상하이, 베이징, 두바이 등이 차세대 금융허브로서 위상을 키우고 있다.한국 정부도 금융허브를 키우겠다고 나선 지 20년 가까이 됐는데, 냉정하게 말하면 별 성과는 없었다. 2003년 ‘동북아시아 금융허브’ 청사진을 계기로 2009년 서울 여의도와 부산 문현동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회사는 지난해 말 기준 166개로 5년 전과 똑같다. 올 4월 씨티은행이 한국 소매금융사업 철수를 발표하는 등 짐을 싸서 나가려는 곳이 오히려 늘고 있다.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된 역사가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오랫동안 아시아 금융허브로 군림해온 홍콩이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 블룸버그통신은 ‘국가보안법’ 도입에 따른 자율성 위축과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강경 대처를 원인으로 꼽았다. 미국은 지난해 홍콩의 보안법 시행에 대응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했다. 다른 서방 국가들도 친(親)중국 노선을 강화하는 홍콩 정부가 자치권과 민주주의를 훼손한다고 거세게 비판해왔다.
홍콩은 세계 3대 기업공개(IPO) 시장 지위에서도 밀려났다. 올 들어 홍콩 증시에서 IPO로 조달된 자금은 378억달러로 미국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이어 4위였다. 지난해까지 세 손가락 안에 들었으나 올해는 순위가 떨어졌다.
세계 각국은 ‘금융허브 키우기’ 경쟁 중
금융허브(financial hub)는 세계 유수의 금융회사와 다국적기업이 한데 밀집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금융산업이 발달한 지역을 뜻한다.자타공인 ‘최고의 금융허브’는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다. 지도상으로 브로드웨이에서 이스트리버에 이르는 이 지역에는 미국 증권거래소와 어음교환소, 뉴욕연방은행, 시티뱅크, 체이스맨해튼, 모건스탠리 등 핵심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본사가 집결했다. 유럽 금융의 중심지로는 영국 런던이 꼽힌다. 여의도보다 작은 행정구역인 시티(City)라는 곳에 금융회사 사무실이 수천 개 몰려 있다.
영국과 미국은 금융패권 1인자 자리를 놓고 치열한 자존심 싸움을 벌여왔다. 전통 제조업 중심의 성장에서 한계를 맞닥뜨린 선진국들은 서비스업, 그중에서도 수익성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금융업을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중국과 중동의 기세가 무섭다. 경제력 급성장과 핀테크 창업 열풍에 힘입어 상하이, 베이징, 두바이 등이 차세대 금융허브로서 위상을 키우고 있다.한국 정부도 금융허브를 키우겠다고 나선 지 20년 가까이 됐는데, 냉정하게 말하면 별 성과는 없었다. 2003년 ‘동북아시아 금융허브’ 청사진을 계기로 2009년 서울 여의도와 부산 문현동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회사는 지난해 말 기준 166개로 5년 전과 똑같다. 올 4월 씨티은행이 한국 소매금융사업 철수를 발표하는 등 짐을 싸서 나가려는 곳이 오히려 늘고 있다.
“금융업, 수익성 높고 고용창출력 뛰어나”
해외 도시 중에는 ‘대형화’ 대신 ‘전문화’로 방향을 틀어 성공한 금융허브도 있다. 파생상품의 시카고, 보험의 취리히, 자산운용의 보스턴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 정부도 뒤늦게 ‘현실’을 받아들이고 금융중심지 정책의 방향을 틀었다. 한국이 경쟁우위를 노려볼 만한 핀테크와 자산운용 분야에 특화하겠다는 구상이다.홍콩은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된 역사가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오랫동안 아시아 금융허브로 군림해온 홍콩이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 블룸버그통신은 ‘국가보안법’ 도입에 따른 자율성 위축과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강경 대처를 원인으로 꼽았다. 미국은 지난해 홍콩의 보안법 시행에 대응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했다. 다른 서방 국가들도 친(親)중국 노선을 강화하는 홍콩 정부가 자치권과 민주주의를 훼손한다고 거세게 비판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