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원 양성 규모 줄인다…사범대 나와야만 국영수 교사된다
입력
수정
현 자격증취득자 모집인원 4배…선택·전문교과는 일반학과·교육대학원 양성
예비교원 실습 4주→한 학기…정교사 연수와 연계한 융합전공 이수 앞으로 사범대를 졸업하지 않으면 국어와 영어, 수학 등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 어려워진다. 교육부는 과잉 배출되는 중등 교원 양성 규모도 줄이기로 했다.
교육부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 중등교원 자격증 취득자, 모집인원의 4.4배…대학 역량진단 통해 감축
교육부는 교원 양성과 임용 규모 간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중등 교원 양성 규모를 축소하기로 했다. 지난해 사범대 등을 졸업하거나 교직과정을 이수해 중등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인원은 1만9천336명이었으나 올해 중등 임용시험 모집인원은 4천410명에 불과했다.
중등 교원 자격증 취득자가 모집인원의 4.4배나 되는 셈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부는 매년 일정 규모 교원 양성이 필요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정보·컴퓨터, 기술, 가정 등은 사범대와 사범계 학과(교육과)를 통해서만 양성하기로 했다. 사범대를 나오지 않고 현재와 같이 교직 이수를 통해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는 불가능해졌다.
고교학점제,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는 선택과목, 전문교과, 신규분야 등의 교원양성은 교과의 특성을 고려해 일반학과 교직 이수 과정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양성한다.
인공지능(AI), 드론 등 신규분야 교직과정은 입학정원 30% 내에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 현행 10%보다 확대하고 교원자격증 표시과목 신설 등을 검토한다. 교육대학원은 1급 정교사 연수, 석사과정 연계, 생애주기 연수 등 교원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사 전문성 심화를 위한 박사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정비한다.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을 통한 중등 교원 양성 규모가 축소되지만, 교육부는 구체적인 감축 인원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 관계자는 "6주기(2022∼2025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기관 특성화 방향과 중등 양성정원 감축 방안을 반영할 방침"이라며 "양성기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기본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중등 교원과 달리 초등 교원은 임용 경쟁률이 2대 1 미만인 점을 고려해 정원 관리보다는 교원 양성과정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교육대학이 소규모로 운영되고 동일 집단으로 구성된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인근 종합대학과 학점 교류 등 연계·공동 교육과정 운영, 인적 교류 등을 활성화한다.
나아가 대학 간 협의에 따라 교육대학과 종합대학 또는 교육대학 간 통합을 추진할 경우 행·재정적 지원과 함께 관련 고등교육 관련 법령 등도 개정할 계획이다. ◇ 내년 하반기부터 예비교원 '실습 학기제'…한 학기 전체 운영 과정 경험
교육부는 사범대생 등 예비교원의 교육 실습을 강화하고자 '실습 학기제'를 도입한다.
기존에도 중등을 기준으로 4주간 교육실습 기간이 있었으나 이를 한 학기로 늘리는 것이다.
예비교원이 실습학교에서 교육과정의 편성·지도·평가 등 한 학기 전체 학사 과정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학교·교실·학생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높이고, 교직관을 형성·점검하는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교육부는 기대했다.
교육부는 교육실습 학기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내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교원 양성 규모의 적정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운영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또 교육과정의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 연계해 교사들이 융합 전공(기존 부전공)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복수 교과 지도 등 다(多)교과 역량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 양성과정, 직무 연수 등을 연계해 융합 전공 이수 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한다.
이 밖에 교원 양성 과정에서 윤리의식, 인성 등 바른 교직관을 갖춘 교원을 양성할 수 있도록 대학 생활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적·인성 검증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상수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은 "학교 현장의 변화에 예비 교원들이 잘 준비하는 것이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가장 빠른 길이자 바른 길"이라며 "정부와 시도교육청에서도 관련 제도와 정책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예비교원 실습 4주→한 학기…정교사 연수와 연계한 융합전공 이수 앞으로 사범대를 졸업하지 않으면 국어와 영어, 수학 등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 어려워진다. 교육부는 과잉 배출되는 중등 교원 양성 규모도 줄이기로 했다.
교육부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 중등교원 자격증 취득자, 모집인원의 4.4배…대학 역량진단 통해 감축
교육부는 교원 양성과 임용 규모 간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중등 교원 양성 규모를 축소하기로 했다. 지난해 사범대 등을 졸업하거나 교직과정을 이수해 중등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인원은 1만9천336명이었으나 올해 중등 임용시험 모집인원은 4천410명에 불과했다.
중등 교원 자격증 취득자가 모집인원의 4.4배나 되는 셈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부는 매년 일정 규모 교원 양성이 필요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정보·컴퓨터, 기술, 가정 등은 사범대와 사범계 학과(교육과)를 통해서만 양성하기로 했다. 사범대를 나오지 않고 현재와 같이 교직 이수를 통해 공통과목 교사가 되기는 불가능해졌다.
고교학점제,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는 선택과목, 전문교과, 신규분야 등의 교원양성은 교과의 특성을 고려해 일반학과 교직 이수 과정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양성한다.
인공지능(AI), 드론 등 신규분야 교직과정은 입학정원 30% 내에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 현행 10%보다 확대하고 교원자격증 표시과목 신설 등을 검토한다. 교육대학원은 1급 정교사 연수, 석사과정 연계, 생애주기 연수 등 교원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사 전문성 심화를 위한 박사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정비한다.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을 통한 중등 교원 양성 규모가 축소되지만, 교육부는 구체적인 감축 인원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 관계자는 "6주기(2022∼2025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기관 특성화 방향과 중등 양성정원 감축 방안을 반영할 방침"이라며 "양성기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기본계획을 내년 상반기 중에 수립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중등 교원과 달리 초등 교원은 임용 경쟁률이 2대 1 미만인 점을 고려해 정원 관리보다는 교원 양성과정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교육대학이 소규모로 운영되고 동일 집단으로 구성된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인근 종합대학과 학점 교류 등 연계·공동 교육과정 운영, 인적 교류 등을 활성화한다.
나아가 대학 간 협의에 따라 교육대학과 종합대학 또는 교육대학 간 통합을 추진할 경우 행·재정적 지원과 함께 관련 고등교육 관련 법령 등도 개정할 계획이다. ◇ 내년 하반기부터 예비교원 '실습 학기제'…한 학기 전체 운영 과정 경험
교육부는 사범대생 등 예비교원의 교육 실습을 강화하고자 '실습 학기제'를 도입한다.
기존에도 중등을 기준으로 4주간 교육실습 기간이 있었으나 이를 한 학기로 늘리는 것이다.
예비교원이 실습학교에서 교육과정의 편성·지도·평가 등 한 학기 전체 학사 과정에 직접 참여해 봄으로써, 학교·교실·학생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높이고, 교직관을 형성·점검하는 기회를 얻게 될 것으로 교육부는 기대했다.
교육부는 교육실습 학기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해 내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교원 양성 규모의 적정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운영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또 교육과정의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 연계해 교사들이 융합 전공(기존 부전공)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복수 교과 지도 등 다(多)교과 역량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1급 정교사 자격연수와 양성과정, 직무 연수 등을 연계해 융합 전공 이수 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한다.
이 밖에 교원 양성 과정에서 윤리의식, 인성 등 바른 교직관을 갖춘 교원을 양성할 수 있도록 대학 생활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적·인성 검증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상수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은 "학교 현장의 변화에 예비 교원들이 잘 준비하는 것이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가장 빠른 길이자 바른 길"이라며 "정부와 시도교육청에서도 관련 제도와 정책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