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음식 남기는 게 미덕' 중국이 바뀌고 있다
입력
수정
지면A33
시진핑 '탄소중립' 3060로드맵 발표중국은 음식 낭비가 심한 대표적인 나라다. 손님 접대 시 음식을 남길 정도로 많이 시켜야 체면 상하지 않게 접대를 잘했다고 생각한다. ‘남기는 게 미덕’이라고 생각하던 중국이 요즘 바뀌고 있다. 이른바 ‘광판(光盤·빈 접시) 행동’이라고 해서 적당한 양의 음식을 시키고 남기지 않도록 하자는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시행 중이다.
친환경 수요 급증…그린플레이션 우려
홍창표 KOTRA 중국지역본부장
그럼에도 중국 특유의 배달 문화와 대도시 중심의 엄격하지 않은 쓰레기 분리수거제 때문에 매일 어마어마한 양의 생활 쓰레기가 배출된다. 지난해 중국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만 1억2700만t에 이를 정도다. 시장에서의 필요는 공급을 부르게 마련이다. 최근 쓰레기 처리기기 수요가 급증한 이유다. 얼마 전 한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기업이 중국 정부기관의 구내식당용 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수출 계약에 성공했다.지난해 9월 유엔총회에서 시진핑 주석은 2030년 탄소피크 이후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3060 로드맵을 발표했다. 중국은 전 세계 탄소 배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하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 국가다. 올해부터 탄소중립 관련 정책을 본격 시행하면서 앞으로 각종 친환경 용품과 소재, ESS(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감·절감장치 등에 대한 시장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지역적으로는 중공업 철강 석탄 등 중후장대 고탄소 산업 위주인 동북지역과 산시성, 제조업체가 밀집한 광둥성, 장쑤성 등에서 그린산업 협력과 제품 구매 수요가 많아질 것이다. 탄소중립 정책이 가져올 중국 시장 진출 기회 요인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기회 요인 뒤에 감춰진 위기 요인과 위협 요인이다. 지난 9월 중국의 전력공급 부족으로 인한 공장가동 중단 사태가 대표적이다. 중국의 주요 에너지 공급원은 화력발전이다. 전력난 원인이 중·호주 간 무역 분쟁으로 인한 석탄수입 중단 조치 때문이라는 얘기가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호주산 석탄 수입 비중이 전체 수입액의 7%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탄소중립 시행 원년을 맞아 올해부터 지방정부별로 분기별 탄소 배출 감축 및 에너지 절감 목표를 정하고 집중 관리에 들어갔다. 하지만 2분기 뚜껑을 열어 보니 19개 성이 목표를 맞추지 못해 경고등이 켜졌다. 그러다 보니 3분기에 다급한 상황이 발생했고 지방정부별로 화력발전을 급격히 줄이면서 전력공급 부족이 발생한 것이다.
탄소중립 정책으로 파생된 연쇄 반응은 중국 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이 유발되고 있다. 그린플레이션이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면서 발생하는 물가상승 현상을 말한다. 10월 글로벌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중국이 1996년 이후 최고치인 13.5%를 기록했고, 미국 역시 8.6% 올라 약 11년 만에 최고점을 찍었다.중국은 2030년 탄소피크 시점까지 최우선적인 경제정책 목표로 ‘탄소중립과 에너지 구조 전환’에 방점을 두고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예상된다. 여전히 석탄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데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국민들의 에너지 소비도 늘고 있어 추진 과정은 쉽지않을 전망이다.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가져올 위기 상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제조업 셧다운으로 인한 생산 차질,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수급 불균형, 동계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 대형 행사 개최에 따른 환경단속 등이 그것이다. 한국 기업들이 지금까지 중국과의 비즈니스에서 수익성과 채산성을 추구하는 전략을 취해 왔다면, 앞으로는 리스크 예방과 적기 대응을 전제로 하는 보수적인 경영 전략이 필요하다. 2022년은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최대한 지키고 잃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한 한 해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