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5G기반 차세대 스마트공장 추진
입력
수정
지면A28
태림산업·GMB코리아서 실증작업기계산업 중심지인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에서 5세대(5G) 이동통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실증작업이 시작된다. 경상남도는 창원국가산단 내 태림산업과 GMB코리아에서 5G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실증작업을 한다고 14일 발표했다.
이 작업은 생산 공장에 초고속, 고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광대역 무선통신망(Wi-Fi 6E)을 구축해 스마트공장 기술을 시현하는 것이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설비·공정현황 모니터링과 고화질 이미지 및 영상 처리를 통한 생산부품 품질 검사, 자율이동로봇을 이용한 물류 이송 등이 가능한지 살피는 과정이다.그동안 5G를 활용한 스마트공장 고도화 작업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기업이 많았다. 하지만 현행 전파법에 따라 신고하지 않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기기의 출력과 전력밀도에 제한이 있어 고화질 이미지나 영상 자료 송수신 등 스마트공장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도는 작년 11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전파출력과 전력밀도 기준을 상향할 수 있도록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받았다. 이어 스마트공장 전용 5G 와이파이 서비스 품질을 점검하고 안전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을 추진해왔다. 최근 통신 장비와 자율이동로봇 등 차세대 스마트공장 기술 적용에 필요한 안전성을 점검하고 사전 행정절차를 완료함에 따라 실증작업을 시작했다.
태림산업에서는 생산 공정별 설비 상태와 생산 실적 등 현장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품질 저하 요소를 신속히 판단해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디지털트윈 기반 지능형 공정운영관리 시스템을 점검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