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당신 조직의 약한 고리는
입력
수정
지면A38
김용준 증권부장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 의심할 여지 없는 세계 최고의 축구 선수다. 축구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발롱도르를 일곱 번이나 받았다. 역대 최다 수상자다. 파리 생제르망으로 이적하기 전 스페인 FC바르셀로나에서 정규리그인 라리가 10회, UEFA(유럽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4회 등 35번이나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국가대표로 28년을 뛰며 우승한 것은 고작 한 차례. 올해 코파아메리카 대회에서였다. 메시는 세계 최고인데, 메시의 아르헨티나 국가대표는 왜 세계를 제패하지 못했는가는 경영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될 정도다.
마스크와 요소수의 공통점
이 의문을 푸는 힌트를 베스트셀러 작가 말콤 글래드웰이 주고 있다. 그는 축구를 ‘약한 고리 스포츠’라고 했다. 메시가 아무리 골을 잘 넣어도 11명 가운데 골키퍼나 수비수 한 명이 약하면 이길 수 없는 스포츠란 얘기다. 농구는 다르다고 했다. 마이클 조던이나 르브론 제임스 같은 스타플레이어 한 명이 팀의 전력을 단숨에 끌어올릴 수 있다는 얘기다.글래드웰은 스포츠뿐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경제와 사회에서도 약한 고리가 중요해졌다고 강조한다. 미국 뉴욕에서 코로나19 초기 끔찍한 상황이 벌어졌다. 사망자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늘자 인근 섬 하나를 매장장으로 사용했다.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약한 고리 때문이었다. 수조원을 들여 개발한 신약이나 의료기기 등 강한 고리를 형성하는 요소가 없어 사망자가 쏟아진 게 아니다. 평상시 사소해 보였던 마스크, 허름한 건물만 있으면 되는 병상, 의사보다 훨씬 적은 임금을 받는 간호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를 약한 고리라고 불렀다.한국에서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비교적 적은 이유는 그 반대라고 할 수 있다. 백신은 없어도 마스크는 있었다. 치료제는 없어도 헌신적으로 환자를 돌보려는 의료 인력이 있었다. 공공병원은 적지만 자발적으로 환자 시설을 내놓는 기업과 병원의 기여가 있었다.
요즘 약한 고리 경제를 절감한 또 하나의 사건이 있었다. 요소수 대란이다. 국내 기업들은 10여 년 전 단가가 너무 낮아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생산을 중단했다. 국민의 99%는 일이 터지기 전까지 요소수가 뭔지도 몰랐다. 하지만 중국발 공급 축소는 경유 자동차의 발을 묶어 경제 현장을 마비시키기 직전까지 내몰았다.
조직의 소외된 곳 돌아보라
이 약한 고리를 조직에 대입해보자. 얼마 전 KT 전산망이 마비되는 사태가 터졌다. 전국 식당과 편의점 결제가 중단됐다. 초기 북한의 해킹이라는 얘기도 나왔다. 하지만 하청업체 직원이 명령어 한 줄을 빼먹은 게 문제였다. 몇 해 전에는 증권사 직원이 배당금을 원 단위로 입력해야 하는 것을 주식 수로 입력하는 사고도 있었다. 이 실수에 회사는 감독당국의 징계를 받았고 사장은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이외에도 직원 한 명의 개인적 일탈이나 ‘피해에 대한 호소’가 순식간에 SNS를 타고 번져 기업 평판에 타격을 가하는 일은 부지기수다.
강한 고리 경제, 강한 고리 조직이 강조될 때 우리는 한 명의 천재가 조직을 먹여 살린다는 말을 믿고 살았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약한 고리가 부상하는 시간이 오면 상황은 달라진다. 엄청난 보너스를 받는 직원보다 평범하거나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직원의 능력과 로열티를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해진다. 생산성 제고는 물론 예측 불가능한 평판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말이다. 조직에서 가장 소외된 곳을 한 번쯤 돌아보고 가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