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前총리, 미납 추징금 7억은 내야
입력
수정
지면A5
선거사범 이례적 사면·복권
MB 제외…박범계 "상황 달라"
'내란 선동' 이석기는 가석방
기업인 38명 사면…中企 집중
2년의 형기를 마치고 2017년 8월 만기 출소한 한 전 총리는 오는 31일자로 복권된다. 다만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부과된 추징금(8억8300만원)에 대한 사면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런 만큼 미납액 약 7억800만원은 내야 한다.정부는 한 전 총리 외에 최명길·박찬우·이제균·우제창 전 의원 등 선거사범 315명을 복권 명단에 넣었다. 사면·감형·복권 대상자 중에선 일반 형사범(2650명) 다음으로 많다.
박 전 대통령과 함께 사면 가능성이 거론됐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명단에 들지 못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이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과 다른 상황이고 국민 정서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특별사면과는 별개로 이석기 전 의원도 내년 9월 출소를 앞두고 가석방됐다. 그는 북한의 대남혁명론에 동조하며 대한민국 체제 전복을 위한 혁명조직(RO)의 총책을 맡아 실행을 모의한 혐의 등으로 2013년 구속 기소됐다. 이후 2015년 징역 9년을 선고받았다. 이 전 의원은 대전교도소에서 출소 직후 “이제서야 나왔다는 데 통탄한다”고 말했다.문재인 정부가 그동안 특별사면에서 정치인을 거의 배제했음을 고려하면 이번 사면은 이례적이라는 게 법조계의 시각이다. 정부는 직전 네 차례 특별사면에선 뇌물·알선수재·알선수뢰·배임·횡령 등 5대 중대 부패 범죄에 대해선 사면을 제한하겠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현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사면된 정치인은 정봉주 전 의원과 이광재 전 강원지사, 곽노현 전 서울교육감 등 손에 꼽는다. 박 장관은 “국민 대화합을 통해 범국가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걷는 계기를 마련하자는 취지”라고 했다.
기업인 특별사면은 중소기업인·소상공인 등에 초점을 맞췄다. 정상적으로 사업하다가 경영난으로 채무가 불어나 거래 상대에게 피해를 준 기업인 등 38명이 사면 명단에 올랐다.사면 후보로 거론됐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제외됐다. 대통령 입장에서 지난 8월 가석방된 지 4개월 만에 사면 결정을 내리긴 쉽지 않았을 것이란 평가다. 이 부회장이 다수의 재판을 받고 있는 점도 사면 대상에서 빠진 요인으로 꼽힌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