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지산 대폭발 전조일까…잇따른 지진에 커지는 불안 [글로벌+]
입력
수정
슈칸겐다이 "3일 발생 지진, 후지산 마그마 활동 원인 가능성" 보도

25일 일본 시사잡지 슈칸겐다이는 후지산 분화 발생 가능성과 분화 발생 시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해서는 안되는 행동을 기사로 다뤘다.
슈칸센다이는 전문가 의견을 인용해 이달 초 야마나시현, 와카야마현과 도쿠시마현 사이 해협 등에서 발생한 지진이 후지산 마그마 활동과의 연관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지목했다.
앞서 이달 3일 오전 6시37분께 야마나시현 동부 후지고코를 진원하는 규모 4.8(수정치)의 지진이 일어났다. 같은날 오전 9시28분께 기이스이도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관측됐다. 이후 12일에는 일본 수도권인 이바라키현 남부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 언론은 통상 5약부터 강진이라고 표현한다. 이달 12일 지진으로 최대 진도 4의 흔들림이 관측됐고, 도쿄 지역에서도 진도 3의 진동이 수초에서 수십초간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진도 4는 대부분의 사람이 놀라는 수준이다. 진도 3의 경우 실내에 있는 거의 모든 사람이 흔들림을 느끼는 정도다.

시마무라 교수는 지난 3일 발생한 지진에 대해 "후지산의 마그마 유동에 따라 일어난 지진이라면, 분화가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1200년에 걸쳐 11차례 분화한 후지산이 1707년 이후 300여 년간 마그마의 에너지를 쌓고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오랜 기간의 휴지기는 확률적으로 분화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란 지적이다.
일본 각지에서 지진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고 슈칸센다이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강조했다.
와다 다카마사 재해위기 관리 어드바이저는 “후지산은 가장 관측 체제가 갖춰진 화산으로, 분화의 몇 주일부터 전부터 전조가 나타날 것"이라면서도 "폭발 강도가 얼마 만큼이 될지는 분화가 일어난 뒤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야마나시·시즈오카·가나가와 등 후지산을 둘러싼 3개 광역자치단체(현)로 구성된 '후지산 화산 방재대책 협의회'가 지난 3월 내놓은 후지산 분화에 따른 피해 지도에 따르면, 후지산이 최대 규모로 분화할 경우 용암류가 27개 기초자치단체를 덮치는 등 대규모 피해를 안길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