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잘 이끌 후보' 이재명 43.0% vs 윤석열 26.8% [여론조사]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가 경제를 가장 잘 이끌 것 같은 후보로 꼽혔다. 경기지사 등 행정 경험을 갖춘 데다 최근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민생 관련 이슈를 주도하면서 경제 행보를 이어온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등 ‘텃밭’에서 일부 선전했지만, 1차 조사(11월 8일)와 비교해 경제 분야 지지도가 하락하면서 두 후보 간 격차는 더 벌어졌다.

26일 한국경제신문이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23일부터 이틀간 벌인 대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중 경제 분야만 놓고 봤을 때 국가 경제를 가장 잘 이끌 것 같은 후보’를 묻는 질문에 43.0%가 이 후보를 택했다. 윤 후보는 26.8%로, 두 후보 간 격차는 16.2%포인트였다.지난달 실시한 1차 조사에서 9.1%포인트였던 두 후보 간 격차가 더 벌어진 모습이다. 이 후보는 1차 조사(40.2%)보다 2.8%포인트 상승했고, 지난 조사에서 31.1%를 얻었던 윤 후보의 경제 분야 지지율은 4.3%포인트 하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10.8%),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4.8%), 심상정 정의당 후보(2.9%) 순이었다.

이 후보의 다자 대결 지지율은 37.8%였지만 경제 분야로만 국한했을 때는 이 보다 5.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다년간의 행정 경험을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부동산 세제, 재난지원금 등 경제 정책을 전방위적으로 언급한 영향도 반영됐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이 후보는 최근 각 지역 경제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민생 행보를 보여왔다”며 “꾸준히 아젠다를 던지면서 때론 정부와 싸우고, 일부 이슈에 대해선 입장도 철회했는데 찬반을 떠나 이같은 행보 자체가 경제에 능력이 있다고 보여진 것”이라고 했다.

검찰총장 출신인 윤 후보는 최근 경제 분야 취약성이 더 도드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59.1%만이 경제 분야에서 윤 후보를 지지했다. 1차 조사(64.9%)보다 떨어졌다. 윤 후보 지지층에서도 65.8%만이 윤 후보의 경제 리더십을 지지해 1차 조사 지지율(70.4%) 대비 낮아졌다. 야권 후보로 분류되는 안 후보에게 지지가 분산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15.1%와 윤 후보 지지층의 12.1%는 경제 분야에서 안 후보를 선택했다. 윤 후보 지지자 중 8.6%는 이 후보를 택했다. 윤 후보의 경제 리더십 지지도는 다자 대결 지지율(37.5%)보다 10.7%포인트나 낮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후보는 대장동 의혹 같은 수사 분야에 대해선 달변이지만, 경제에 대해선 연이어 실언을 하는 등 조마조마한 부분이 많았다”고 했다. 박 교수는 “최근 윤 후보는 경제 행보 대신 당내 갈등과 막말 논란 수습에만 애썼다”며 “야당 대선 주자니 야권 지지자들이 어쩔 수 없이 윤 후보를 지지하는 것일뿐 경제 분야에 전문성을 확인하긴 어렵다”고 했다. 지역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TK(42.0%)와 PK(32.0%)에서만 경제 분야에서 윤 후보를 지지한 비율이 높았다.

서울은 이 후보를 경제 분야에서 지지한 비율이 38.0%, 윤 후보가 28.7%로 9.3%포인트 차이가 났다. 1차 조사에서 이 후보 33.5%, 윤 후보 33.3%으로 비슷했던 것에서 격차가 벌어진 모습이다.다만 경제분야 정책통인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등이 파격적인 경제 공약을 내세울 경우 반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윤 후보 본인의 경제 전문성이 떨어지는 건 맞지만, 경제 전문가이자 전략가인 김 위원장이 던질 카드는 위협적일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김 위원장이 선대위 합류 후 아직까지 인상적인 경제 아젠다를 던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번 선거에선 김 위원장의 영향력이 떨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2.8%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고, 38.9%는 ‘다소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두 응답을 합치면 한국의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응답자는 81.7%에 달했다.

‘차기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둬야할 정책’을 묻는 질문엔 34.6%가 ‘집값 안정’을 꼽았다. 물가 안정(27.7%), 일자리 창출(23.0%), 기업규제 완화(7.5%), 국내 소비 진작(3.5%) 순이었다. 고은이 기자

■ 어떻게 조사했나

입소스가 한국경제신문의 의뢰를 받아 지난 23~24일 이틀간 전화통화(유선 10%, 무선 90%)로 의견을 물었다. 전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1.0%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