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43.0% vs 尹 26.8%…'경제 잘 이끌 후보' 격차 더 벌어졌다
입력
수정
지면A4
한경-입소스 여론조사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가 경제를 가장 잘 이끌 것 같은 후보로 꼽혔다. 경기지사 등 행정 경험을 갖춘 데다 최근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민생 관련 이슈를 주도하면서 경제 행보를 이어온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등 ‘텃밭’에서 일부 선전했지만, 1차 조사(11월 8일)와 비교해 경제 분야 지지도가 하락하면서 두 후보 간 격차는 더 벌어졌다.
9.1%P였던 두 후보 지지율 차이
이번 조사에선 16.2%P로 확대
이재명 '아젠다 제시' 긍정 평가
윤석열 후보 지지층 일부는
경제리더십에서 안철수 선택
李, 경제 분야 선호도 상승
26일 한국경제신문이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23일부터 이틀간 벌인 대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중 경제 분야만 놓고 봤을 때 국가 경제를 가장 잘 이끌 것 같은 후보’를 묻는 질문에 43.0%가 이 후보를 택했다. 윤 후보는 26.8%로, 두 후보 간 격차는 16.2%포인트였다.지난달 시행한 1차 조사에서 9.1%포인트였던 두 후보 간 격차가 더 벌어진 모습이다. 이 후보는 1차 조사(40.2%)보다 2.8%포인트 상승했고, 지난 조사에서 31.1%를 얻었던 윤 후보의 경제 분야 지지율은 4.3%포인트 하락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10.8%), 김동연 새로운물결 후보(4.8%), 심상정 정의당 후보(2.9%) 순이었다.
이 후보의 다자 대결 지지율은 37.8%였지만 경제 분야로만 국한했을 때는 이보다 5.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다년간의 행정 경험을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부동산 세제, 재난지원금 등 경제 정책을 전방위적으로 언급한 영향도 반영됐다.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이 후보는 최근 각 지역 경제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민생 행보를 보여왔다”며 “꾸준히 아젠다를 던지면서 때론 정부와 싸우고, 일부 이슈에 대해선 입장도 철회했는데 찬반을 떠나 이 같은 행보 자체가 경제에 능력이 있다고 보인 것”이라고 했다.
尹 ‘텃밭’서만 선전
검찰총장 출신인 윤 후보는 최근 경제 분야 취약성이 더 도드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59.1%만이 경제 분야에서 윤 후보를 지지했다. 1차 조사(64.9%)보다 떨어졌다. 윤 후보 지지층에서도 65.8%만이 윤 후보의 경제 리더십을 지지해 1차 조사 지지율(70.4%) 대비 낮아졌다.야권 후보로 분류되는 안 후보에게 지지가 분산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15.1%와 윤 후보 지지층의 12.1%는 경제 분야에서 안 후보를 선택했다. 윤 후보 지지자 중 8.6%는 이 후보를 택했다. 윤 후보의 경제 리더십 지지도는 다자 대결 지지율(37.5%)보다 10.7%포인트나 낮다.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후보는 대장동 의혹 같은 수사 분야에 대해선 달변이지만, 경제에 대해선 연이어 실언을 하는 등 조마조마한 부분이 많았다”고 했다. 박 교수는 “최근 윤 후보는 경제 행보 대신 당내 갈등과 막말 논란 수습에만 애썼다”며 “야당 대선 주자니 야권 지지자들이 어쩔 수 없이 윤 후보를 지지하는 것일 뿐 경제 분야에 전문성을 확인하긴 어렵다”고 했다. 지역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TK(42.0%)와 PK(32.0%)에서만 경제 분야에서 윤 후보를 지지한 비율이 높았다.
10명 중 8명 “경제 어렵다”
다만 경제분야 정책통인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등이 파격적인 경제 공약을 내세울 경우 반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윤 후보 본인의 경제 전문성이 떨어지는 건 맞지만, 경제 전문가이자 전략가인 김 위원장이 던질 카드는 위협적일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김 위원장이 선대위 합류 후 아직까지 인상적인 경제 아젠다를 던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번 선거에선 김 위원장의 영향력이 떨어졌다는 분석도 있다.‘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2.8%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고, 38.9%는 ‘다소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두 응답을 합치면 한국의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응답자는 81.7%에 달했다.‘차기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엔 34.6%가 ‘집값 안정’을 꼽았다. 물가 안정(27.7%), 일자리 창출(23.0%), 기업규제 완화(7.5%), 국내 소비 진작(3.5%) 순이었다.
어떻게 조사했나
입소스가 한국경제신문의 의뢰를 받아 지난 23~24일 이틀간 전화통화(유선 10%, 무선 90%)로 의견을 물었다. 전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1.0%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