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안철수의 연금개혁, 청년에 대한 책임감" [청문청답]

2022년 신년 기획
"청년이 대선후보 청년조직에 묻다"

김근태 국민의당 선대위 청년본부장 인터뷰
이번 대선에서 과거에 비해 특히 많이 언급되는 단어, 바로 '청년'이다. 2017년 대선 당시 20대는 76.1%, 30대는 74.2%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2030세대가 캐스팅보트로 급부상했다. 후보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들락날락하고 춤을 추고 요리도 하며 청년 표심 잡기에 한창이다. 하지만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할 대선이 두 달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청년들은 영 진정성을 느끼기가 어렵다. 이대로 청년들의 미래를 후보들에게 맡겨도 되는 것일까? '청문청답.' 2030 청년 기자들이 각 후보의 청년 조직을 만나 '뒷담'을 나눴다. [편집자주]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 사진=뉴스1
역대급 '비호감' 대선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10%를 갓 넘긴 지지율을 횡보하고 있지만, 거대 양당 후보들로부터 염증을 느낀 청년층과 중도층의 지지를 통해 점차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안 후보는 소위 '물 들어올 때 노 젓는' 모습이다. 안 후보는 다른 후보들이 쉽사리 거론하지 않는 연금 개혁에 대해서도 "청년의 등골을 빼 먹을 연금을 기필코 개혁해야 한다"며 차별화 행보에 나서고 있다.

그간 안 후보의 청년 정책이 기득권들의 세력 다툼과 설전에 가려진 건 아니었을까. '안철수의 청년' 김근태 국민의당 선거대책위원회 청년본부장을 만나 안 후보가 청년을 위해 품고 있는 '진심'에 대해 들어봤다.
김근태 국민의당 선거대책위원회 청년본부장. / 사진=국민의당 선대위 제공
Q) 이번 대선에서 청년에 대한 입지가 상당히 높아진 분위기가 느껴진다.A) 기존에는 사실 청년 세대가 정치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쌓여온 사회에 대한 불만이 표출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청년들의 표심은 이념적인 부분에 달린 게 아니라, '내가 앞으로 살아갈 대한민국에 어떤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느냐'는 실용적인 부분에 달려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공략하느냐에 따라 지지율에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여지가 크다고 봅니다.

Q) 안 후보와는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됐나?

A) 학창 시절 저는 공대생이어서 정치에 큰 관심을 갖고 있진 않았지만, 안 후보에게는 어느 정도 호감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대학원에 입학했을 무렵 '조국 사태'가 터졌고, 집회를 열었습니다. 그때 안 후보를 처음 만나게 됐습니다. 당시 저는 청년들을 대변하는 정당을 창당하려 마음먹었었는데, 그게 참 쉽지가 않더라고요. 어려움을 겪을 무렵 안 후보로부터 '같이 한번 해보자'는 제의를 받았습니다.Q) 직접 겪어본 안 후보는 어떤 사람인가?

A) 처음에는 답답한 면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그런데 확실한 건 직접 소통하는 것과 멀리서 보는 것과는 다릅니다. 조롱의 의미가 아니라 생각보다 귀여웠습니다. 또 확실히 기존에 쌓아온 다양한 커리어에 걸맞게 아는 것도 많고 이야기도 잘 들어줘서 공감대를 형성할 부분도 많았습니다.

Q) 안 후보의 청년 정책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A) '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입니다. 청년이라 함은 사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가 선순환 구조로 돼 있어야 계속 지속할 수 있습니다. 안 후보는 국가의 미래를 만들어내는 게 청년의 미래를 만드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청년 정책에 접근하는 것 같습니다.

Q) 안 후보 청년 정책의 강점을 꼽자면?

A) 안 후보는 직접 회사도 경영해봤고,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면서 현실에 맞닿아 있는 경험과 공부를 해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성이 있는 청년 정책을 낼 수 있다는 게 안 후보의 강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안 후보는 청년 공약 다섯 가지를 발표하면서 대선 레이스를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청년에게 집중하고 있습니다.

지금 청년 세대가 문재인 정권에서 갖게 된 불만 중 하나가 전문성에 대한 몰이해라고 생각합니다. 전문가의 영역은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그 조언을 바탕으로 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자신들의 이념에만 집중해서 정책을 추진하다 보니 현실과의 괴리가 생기는 것이죠. 그런 부분을 정상화할 수 있는 후보는 안철수입니다.

특히 안 후보가 정치권이 굉장히 꺼리고 두려워하는 존재인 '연금 개혁'을 용기 있게 공약을 낸 게 그의 정치적 책임을 엿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가 1990년생인데, 90년생이 65세가 되는 시점부터 국민연금이 고갈됩니다. 저부터는 돈만 내고 연금을 못받는 그런 구조가 되는 건데, 사회적 타협을 빠르게 이끌어낼수록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부작용은 더욱 줄일 수 있다는 게 안 후보의 입장입니다.

Q) 안 후보가 청년 정책 발굴을 위한 '청년 내각'을 띄웠는데 유의미한 논의가 이뤄졌나?

A) 청년 내각 내 선진국방부에서 군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군대가 소수정예로 더 선진화되는 기술로 무장이 됐을 때 힘을 더 발휘할 수 있다는 접근을 통해 부사관들의 비중을 높이고 병사들의 비중은 조금씩 줄여나가는 '준 모병제' 방향이 제시됐습니다.

이 밖에도 이스라엘의 탈피오트(과학 영재들이 모인 과학부대) 벤치마킹, 전역자 사회진출지원금 1000만 원 등의 제안도 이뤄졌습니다. 정책 제안뿐만 아니라 청년 내각은 안 후보와 함께 이번 수능에서 생물2 출제 오류 때 영상도 만들어보고, 세무사 시험 부정 의혹에 대해선 공익감사 청구도 했습니다. 청년 내각은 부처별 활동 외에도 청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들에 대해 활발히 논의해 어떻게 하면 제도권에 담아낼 수 있을지도 고민합니다.

Q) 거대 양당 후보들에게 소위 '꼰대' 이미지가 따라붙고 있지만, 안 후보는 이런 인식이 비교적 덜하다는 평가다.

A) 안 후보는 항상 열려 있는 성격입니다. 다만 모든 정치인은 나름의 한계를 갖는 것 같습니다. 세대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인식 격차가 클 수밖에 없는 건 정치인들의 한계입니다. 안 후보에게 피드백을 주면 그걸 받아들일 수 있도록 잘 설명하는 게 저 같은 사람들의 역할이겠죠.

Q) 안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여야 모두 단일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캠프 내부 분위기는?A) 정권교체에 대한 국민의 열망이 굉장히 강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정권교체를 해낼 수 있는 사람을 찍자'는 심리가 강했습니다. 그런 영향으로 안 후보가 큰 지지를 못 받게 된 상황도 벌어졌는데요. 비호감 대선으로 흘러가다 보니까 안 후보가 대안일 수 있겠다는 여론이 조금씩 올라오고 있습니다. 안철수라는 사람이 대안으로 보일 수 있게끔 하는 게 선거 캠프의 가장 큰 숙제이고요. 일각에서는 단일화 이야기도 나오는데, 캠프 내부에서는 안 후보의 지지율을 높이고 명실상부한 대선후보로서, 대통령감으로서 인식되게끔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정권교체를 이뤄야만 한다는 대전제에 대한 중요성은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캠프 내에서는 안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입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