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총리, 국회가 추천…정부 법안제출권 폐지"(종합)
입력
수정
'정치개혁 비전' 발표…"슈퍼대통령제와 결별해야"
기재부 예산 편성 기능을 청와대로? "민주정치의 역행"
정의당 심상정 대선 후보는 3일 국회가 국무총리를 추천하고 행정부의 법안 제출권을 폐지하는 등 정치권력 분산·개혁 공약을 발표했다.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정치개혁 비전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구상을 전했다.
심 후보는 "지금 대선은 민망할 정도로 혼탁하다.
자고 일어나면 막말과 가족 검증이 연이어 쏟아진다"며 "국가 비전을 제시해야 할 거대양당은 최악의 경쟁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대선은 인물 교대가 아닌 낡은 정치체제를 교체하는 선거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 후보는 "이를 위해서는 정치의 중심이 청와대에서 의회로 바꿔야 한다"며 "국회가 국무총리를 추천하는 등 청와대 권력을 분산시키겠다"고 밝혔다.
심 후보는 또 "의회가 행정부에 종속되지 않도록 의회의 실질적 권한을 강화하겠다"며 "2024년 총선 이후에 정치적 합의를 통해 행정부의 법안제출권은 폐지하고, 예산편성권과 감사원을 의회로 이관할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올해 지방선거에서부터 중대선거구제도를 도입하고 대통령 선거에서는 결선투표제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심 후보는 "제왕적 대통령제 앞에서는 의회에서의 협치도, 정당 간 연정도 무력화될 것"이라며 "슈퍼대통령제와 결별하겠다는 선언과 구체적인 실천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 후보는 회견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공약 가운데) 개헌이 필요한 것은 정치적 합의를 도모하면서 2024년 총선 때 개헌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에서 예산 편성 기능을 떼어 내 청와대 밑에 두겠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구상을 두고는 "민주정치의 역행"이라고 비판했다.
심 후보는 "대통령이 마음대로 하겠다는 게 아니냐"며 "민주당 정치인들이 모든 것을 기재부 장관 탓으로 돌리는 것은 매우 무책임하고 비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심 후보는 이날 오전 당 선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향해 "국민 검증을 피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면 지금이라도 다자 토론 제안에 흔쾌히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기재부 예산 편성 기능을 청와대로? "민주정치의 역행"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정치개혁 비전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구상을 전했다.
심 후보는 "지금 대선은 민망할 정도로 혼탁하다.
자고 일어나면 막말과 가족 검증이 연이어 쏟아진다"며 "국가 비전을 제시해야 할 거대양당은 최악의 경쟁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대선은 인물 교대가 아닌 낡은 정치체제를 교체하는 선거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 후보는 "이를 위해서는 정치의 중심이 청와대에서 의회로 바꿔야 한다"며 "국회가 국무총리를 추천하는 등 청와대 권력을 분산시키겠다"고 밝혔다.
심 후보는 또 "의회가 행정부에 종속되지 않도록 의회의 실질적 권한을 강화하겠다"며 "2024년 총선 이후에 정치적 합의를 통해 행정부의 법안제출권은 폐지하고, 예산편성권과 감사원을 의회로 이관할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올해 지방선거에서부터 중대선거구제도를 도입하고 대통령 선거에서는 결선투표제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심 후보는 "제왕적 대통령제 앞에서는 의회에서의 협치도, 정당 간 연정도 무력화될 것"이라며 "슈퍼대통령제와 결별하겠다는 선언과 구체적인 실천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 후보는 회견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공약 가운데) 개헌이 필요한 것은 정치적 합의를 도모하면서 2024년 총선 때 개헌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에서 예산 편성 기능을 떼어 내 청와대 밑에 두겠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구상을 두고는 "민주정치의 역행"이라고 비판했다.
심 후보는 "대통령이 마음대로 하겠다는 게 아니냐"며 "민주당 정치인들이 모든 것을 기재부 장관 탓으로 돌리는 것은 매우 무책임하고 비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심 후보는 이날 오전 당 선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향해 "국민 검증을 피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면 지금이라도 다자 토론 제안에 흔쾌히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