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보다 귀하다…디지털 진품명품
입력
수정
지면A17
Cover Story1914년 3월 2일 프랑스 파리의 드루오호텔에서 미술품 투자의 흐름을 바꾼 혁명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컬렉터 13명이 결성한 ‘곰가죽 클럽’이 지난 10년간 모아온 작품 150여 점을 판매하기 위해 연 경매가 대성황을 이룬 것. 324%에 달하는 수익률만큼이나 놀라운 건 투자 방식이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작품을 구입하는 게 아니라 연간 일정액을 출자해 조성한 펀드로 작품을 사 모았다. 컬렉터 클럽과 아트 펀드라는 개념을 동시에 창시한 것이다.
신종 아트테크의 모든 것
곰가죽 클럽은 주로 무명 작가의 작품을 사들였다. 파블로 피카소와 앙리 마티스, 빈센트 반 고흐 등이 주요 대상이었다. 피카소는 이 경매를 통해 본격적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인상파 위주로 그림을 사 모으던 기성 화랑들은 경매 이후 야수파와 입체파 등 새로운 미술 사조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예술적인 투자가 미술사의 흐름까지 바꾼 셈이다.한 세기 남짓 흐른 지금, 새로운 ‘투자 혁명’이 미술 시장에서 벌어지고 있다. 그림을 지분 형태로 쪼갠 뒤 여러 투자자가 공동으로 소유권을 구입하는 조각투자, 컴퓨터 파일을 거래하는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신종 아트테크 수단의 등장이다. 부유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미술 시장은 조각투자에 힘입어 저변이 크게 넓어지면서 규모가 급성장했고, NFT의 등장과 함께 디지털 예술 작품을 만드는 작가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됐다.
미술 시장의 호황 덕에 지난해 아트테크 투자자들은 안정적으로 고수익을 거뒀다. 조각투자 플랫폼인 아트앤가이드는 작품을 구매해 되판 수익률이 평균 40.9%(평균 보유기간 313일)에 달했다. 하지만 일반인에게 아트테크는 아직 생소하기만 하다. 새로운 기술과 투자기법이 난립하면서 사기 피해를 볼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시장이 호황이라지만 섣불리 뛰어들었다가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제대로 알고 접근하면 20세기 초 ‘곰가죽 클럽’처럼 미술 투자의 흐름까지 바꿀 수도 있다. 새로운 아트테크 수단으로 떠오른 조각투자와 NFT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