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몰리는 변액보험…DGB생명 '신흥강자'로
입력
수정
지면A10
작년 초회보험료 4.5조…90%↑코로나19 발생 이후 2년 새 변액보험의 초회보험료(첫 번째 납입보험료)가 세 배 규모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가 이어지면서 수익률에 목말라 하는 소비자들이 생명보험사의 변액 상품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DGB생명 등 중소형 생보사들이 적극적으로 영업에 뛰어들면서 미래에셋생명이 주도하던 변액보험 시장이 요동치는 모양새다.
저금리 장기화에 가입자 몰려
DGB·하나·흥국 등 공격 영업
지난해 변액보험펀드 수익률
DGB생명 1위…중소형사 약진
미래에셋은 중장기 수익률 1위
초회보험료 2년 새 세 배 증가
7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변액보험의 초회보험료는 4조4708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1~10월(1조5074억원)의 세 배 규모로 늘었다. 전년 동기 초회보험료(2조4078억원)와 비교해도 1년 새 90%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냈다. 변액보험은 납입된 보험료 중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 자산에 투자해 투자수익을 소비자에게 배분하는 상품이다. 초회보험료는 보험 계약을 맺은 뒤 납입된 1회차 보험료로, 많을수록 보험사가 신계약을 많이 창출했다는 의미다.소비자들이 ‘쥐꼬리 수익률’을 피하기 위해 예·적금 대신 변액보험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제로’에 가까워지면서 예·적금 금리가 연 1%대 안팎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
신계약의 대부분은 방카슈랑스(은행에서 판매하는 보험)를 통해 판매됐다. 지난해 10월까지 변액보험 초회보험료 가운데 66%인 2조9637억원이 은행 창구에서 나왔다. GA(보험대리점)와 설계사 채널에서도 각각 8884억원, 6176억원이 팔려나갔다. 지난해 변액보험 펀드에 가입한 한 직장인은 “적금 이자가 워낙 적어 재가입을 고민했는데 은행에서 보험사 상품을 추천해줬다”며 “수익률이 예·적금보다 높아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형사 돌풍에 시장 판 커져
DGB·흥국·하나생명·메트라이프 등 중소형 생보사들이 공격적으로 변액보험 영업에 나선 것도 시장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는 평가다. 변액보험 ‘전통 강자’인 미래에셋생명의 시장 점유율(57%·10월 초회보험료 기준)이 여전히 압도적이지만 중소형사들의 약진도 두드러진다. DGB생명은 지난해 변액보험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전체 판매 상품 중 변액보험 비중이 93%에 달했다. 흥국생명은 2019년 초회보험료(983억원)를 지난해 5개월 만에 벌어들였다.지난해 1년 변액보험 펀드 수익률 상위권에도 중소형사가 다수 포진했다. 생보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순자산 가중평균 수익률(펀드의 순자산 규모에 따라 가중치 조정한 수익률)은 DGB생명이 8.7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메트라이프(8.40%) 하나(6.29%) 미래에셋(6.01%) 흥국(5.41%) 등의 순이었다. 다만 3년, 5년 등 중장기 수익률은 전 상품군(주식혼합·채권혼합형 등)에서 미래에셋이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보업계에서는 올해에도 생보사들의 변액보험 시장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보장성 상품의 인기가 시들한 데다 소비자들이 중금리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을 원하기 때문이다.보험업계 관계자는 “변액보험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리스크별 상품 형태와 투자처가 다양해지고 있다”면서도 “결국은 손실이 날 수 있는 투자성 상품인 만큼 자신의 성향을 잘 파악한 뒤 회사와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