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제왕적 리더십과 시대적 감각의 소유자
입력
수정
지면A33
김희경 문화스포츠부 기자“나쁜 오케스트라는 없다. 그저 나쁜 지휘자만이 있을 뿐.”
독일 출신 지휘자 한스 폰 뷜로가 한 얘기다. 오케스트라 연주를 감상하고 나면 흔히 악단의 실력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악단의 수준과 실력을 결정짓는 건 지휘자다. 지휘자는 특정 악기 연주를 하지 않지만 오케스트라 자체가 곧 악기가 된다. 동일한 악단이라 해도 어떤 스타일과 리더십을 가진 지휘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연주를 하게 된다.
클래식 역사를 새로 쓴 재능과 욕망
손끝에서 피어나는 마법으로 오케스트라라는 악기를 완벽하게 연주해낸 지휘자엔 누가 있을까. 많은 이의 머릿속에 이 이름이 떠오를 것 같다. ‘음악의 황제’ ‘음악의 제우스’ 등으로 불린 20세기 최고의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1908~1989·사진)이다. 카라얀은 베를린필 상임지휘자이자 종신 음악감독을 지내며 클래식의 역사를 새로 썼다. 눈을 감은 채 은빛 머리를 휘날리며 격정적으로 두 손을 움직이는 그의 모습은 지휘자의 표상으로 남았다.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난 카라얀은 어릴 때부터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의사이자 음악 애호가였던 아버지 덕분에 피아노를 일찍 배울 수 있었다. 하지만 손목 건초염 때문에 피아노 대신 지휘로 눈을 돌리게 됐다.뛰어난 감각과 성공에 대한 강렬한 욕망. 두 가지를 모두 가진 그는 젊은 시절부터 승승장구했다. 26세에 아헨 극장의 최연소 음악총감독으로 임명됐다. 이후 빈필, 영국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등의 지휘도 맡았다.
카라얀은 유럽의 주요 악단을 모두 휩쓸었다. 그중에서도 그를 대표하는 악단은 단연 베를린필이다. 그는 베를린필의 상임지휘자를 맡기 위해 전력투구했다.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소식에도 어머니를 한 번도 찾아가지 않고 공연 준비에만 몰두했을 정도다.
마침내 그는 47세에 베를린필 상임지휘자가 됐다. 그리고 종신 음악감독이 돼 34년 동안 베를린필을 이끌었다. 그는 엄청난 집념과 특유의 카리스마로 악단을 장악했고, 한층 완성도 높은 무대를 만들어냈다.카라얀의 지휘법도 독특했다. 처음부터 곡이 끝날 때까지 눈을 감은 채 지휘했다. 악보를 통째로 외워서 펼쳐내는 ‘암보(暗譜)’ 지휘법이다. 눈을 감은 채 각 악기의 소리를 구분하고 지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그는 정확성을 갖춘 것은 물론 폭발적인 에너지로 청중을 압도했다. 카라얀은 “지휘 도중 눈을 감으면 음악의 내면에 집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얼굴의 마에스트로, 카라얀
그는 시대의 변화를 앞서 파악하고 적극 활용한 인물로도 잘 알려져 있다. 1940년대에 LP가 나온 뒤 많은 음악가들은 “레코딩은 죽은 음악”이라며 공연장 연주를 고집했다. 반면 카라얀은 집에서 음악을 즐기는 시대가 온 것을 직감하고 LP 녹음에 매달렸다. 1980년대 CD가 등장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그는 900여 장에 달하는 음반을 남겼고, 2억 장이 팔렸다. 이 같은 노력은 그가 20세기 클래식을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클래식 감상을 위해 사람들이 집어드는 건 대부분 카라얀과 베를린필의 음반이었다.하지만 그를 두고 많은 비판도 일었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소통 없이 목표만을 추구하는 그를 ‘독재자’라고 불렀다. 레코딩 제작에 몰두하는 데 대해 ‘장사꾼’이라고 비난하는 사람도 많았다. 무엇보다 그의 역사적 과오는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출세를 위해 나치 당원으로 활동했던 것을 두고 ‘괴물’이란 지탄이 쏟아졌다.
심지어 한 명의 관객도 없이 공연을 해야 했던 적도 있다. 유대인들이 공연 티켓을 모두 산 뒤 나타나지 않았던 것이다. 텅 빈 공연장에서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목표를 위해선 어쩔 수 없는 과정에 불과하다고 여겼을까. 카라얀은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자신의 목표를 모두 달성한 사람은 목표를 너무 낮게 정한 사람이다.”
스스로 만들어낸 음악적 이상과 그에 부합하는 성과들을 내기 전까진 결코 만족하지 않았던 카라얀. 그 결과 얻게 된 타이틀 ‘20세기 최고의 지휘자’ 그리고 ‘괴물’. 두 얼굴의 마에스트로에 대한 상반된 평가와 논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 같다.
◆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