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오미크론 확산에 "천마스크 대신 보건용 쓰라" 권고 검토
입력
수정
"천마스크 대신 보건용 등 지침 개정 고려 중"
"천마스크는 장신구에 불과해"

워싱턴포스트(WP)는 10일(현지시간)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마스크 착용 지침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N95 마스크는 한국에선 KF94 등급에 해당하는 보건용 마스크로 N95 마스크는 0.3㎛(마이크로미터) 미세 입자를 95%, KF94 마스크는 0.4㎛ 미세 입자를 94%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CDC의 기존 지침에는 N95 마스크를 의료계 종사자에게 우선 공급해야 한다고 명시돼있다. 그러면서 일반 국민들에게는 '세척할 수 있고 통기성 있는 천 마스크 사용'을 권장했다.
WP는 "CDC가 2020년 마스크 착용 지침을 처음 발표할 당시에는 의료진용 N95 마스크가 부족해질 것을 염려했으나 더는 그러한 우려가 없다"며 지침 변경 배경을 설명했다.앞서 미 조지워싱턴대 밀컨 공중보건 연구소의 방문 교수인 리아나 원은 CNN에 "오미크론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천 마스크는 얼굴 장신구에 불과하다"며 "사람이 밀집한 장소 등에선 N95 등급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적어도 입자를 거르는 필터가 있는 '수술용 마스크'라도 써야 하며, 천 마스크는 그 아래 보건용 마스크를 겹쳐 썼을 때만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본디 마스크를 장려했던 독일·오스트리아 등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들에서 마스크 부족 문제가 해결된 이후 '공공장소에선 적어도 수술용 마스크를 써야한다'고 권고 지침을 바꾼 바 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