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규 HDC 회장, 17일 '광주 사고' 입장 발표…회장직 내려놓나
입력
수정
지난 11일 발생한 광주광역시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와 관련해 정몽규 HDC그룹 회장이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발생 엿새 만에 공식 입장을 발표한다. 잇단 대형사고 발생으로 아이파크 브랜드 신뢰도가 바닥으로 떨어진 가운데 오너인 정 회장의 책임론이 불거지자 HDC그룹 회장에서 물러나는 경영 퇴진 가능성도 제기되는 등 발표 내용에 관심이 쏠린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정 회장이 17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HDC현산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붕괴 사고에 대해 대국민 사과 등 입장을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는 사고 발생 이튿날인 12일 광주 현장에 내려가 유병규 HDC현산 대표 등과 사고 수습을 지휘한 뒤 15일부터 서울로 올라와 거취 등에 대해 숙고에 들어갔다가 결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장은 1996~1999년 현대자동차 회장을 지냈다. 이후 현대차 경영권이 정몽구 명예회장에게 넘어가면서 현대산업개발(현 HDC그룹)로 자리를 옮겼다. 2018년 그룹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HDC현산 대표이사에서 물러났지만 여전히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등 경영에 관여하고 있다.
당초 정 회장은 사고 원인 조사와 실종자 수색 등 사고 수습이 마무리된 뒤 신중하게 공식 석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비난 여론이 거세지면서 시기가 더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 경영진이 회장의 결단 없이는 이번 사태 수습과 대국민 신뢰 회복이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전국 재개발·재건축 현장에서 HDC현산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최근 시공사 선정을 추진 중인 경기 안양시 관양동 현대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일부 조합원이 단지 내에 ‘현대산업개발 보증금 돌려줄 테니 제발 떠나달라’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붙이기도 했다.
경영계에선 사태의 심각성과 비난 여론 등을 고려했을 때 정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나는 등 중대 발표를 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지난해 6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철거현장 붕괴 사고 이후 현장소장 한 명이 기소된 것을 제외하고 HDC현산에서 사고 발생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경영진은 없다. 이후 ‘스마트 안전보건 시스템’ 등 안전 예방 대책을 마련했으나 형식적 수준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HDC현대산업개발은 정 회장이 17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HDC현산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붕괴 사고에 대해 대국민 사과 등 입장을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는 사고 발생 이튿날인 12일 광주 현장에 내려가 유병규 HDC현산 대표 등과 사고 수습을 지휘한 뒤 15일부터 서울로 올라와 거취 등에 대해 숙고에 들어갔다가 결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장은 1996~1999년 현대자동차 회장을 지냈다. 이후 현대차 경영권이 정몽구 명예회장에게 넘어가면서 현대산업개발(현 HDC그룹)로 자리를 옮겼다. 2018년 그룹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HDC현산 대표이사에서 물러났지만 여전히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등 경영에 관여하고 있다.
당초 정 회장은 사고 원인 조사와 실종자 수색 등 사고 수습이 마무리된 뒤 신중하게 공식 석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비난 여론이 거세지면서 시기가 더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 경영진이 회장의 결단 없이는 이번 사태 수습과 대국민 신뢰 회복이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전국 재개발·재건축 현장에서 HDC현산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최근 시공사 선정을 추진 중인 경기 안양시 관양동 현대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일부 조합원이 단지 내에 ‘현대산업개발 보증금 돌려줄 테니 제발 떠나달라’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붙이기도 했다.
경영계에선 사태의 심각성과 비난 여론 등을 고려했을 때 정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나는 등 중대 발표를 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지난해 6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철거현장 붕괴 사고 이후 현장소장 한 명이 기소된 것을 제외하고 HDC현산에서 사고 발생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경영진은 없다. 이후 ‘스마트 안전보건 시스템’ 등 안전 예방 대책을 마련했으나 형식적 수준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