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株 급락 일단 멈췄지만…전망은 엇갈려

광주 '아파트 외벽 붕괴사고' 여파
안전관리 강화로 공기지연 불가피
원가부담 큰폭 상승 우려

"가장 부정적인 경우 가정해도
건설사 주가 바닥" 매수 추천도
지난 11일 HDC현대산업개발의 광주광역시 주상복합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 이후 건설업체들의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향후 건설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설사들의 이익이 줄고, 업황 자체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19일 일부 종목 주가가 반등했지만 건설주에 대한 시장의 시각은 엇갈린다. 우려가 과도하다는 의견과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때라는 시각이 부딪치고 있다.
광주 주상복합 현장 외벽 붕괴 사고가 발생한 11일 이후 19일까지 HDC현대산업개발 주가는 38% 하락했다. 특히 18일 낙폭이 컸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법이 규정한 가장 강한 페널티”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르면 부실시공 업체는 건설업 등록 말소 또는 1년 이내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다. ‘건설안전 3법’ 가운데 건설안전특별법의 조속한 통과도 촉구했다. 건설 발주, 설계, 시공, 감리 등 모든 과정에 안전관리 책임을 넣은 것이 건설안전특별법이라고 강조했다.이 소식에 18일 HDC현대산업개발뿐만 아니라 다른 건설사 주가도 동반 급락했다. GS건설(-5.61%) 대우건설(-6.24%) 등의 하락폭이 컸다. 현장 감독이 강화되고 아파트 건설 공기가 길어지면서 원가 부담도 큰 폭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19일 GS건설과 대우건설은 반등에 성공했지만 건설업종 애널리스트들의 투자의견은 엇갈린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안전관리가 추가로 강화돼 계절별로 건설공사 속도가 늦춰지면 공사 비용이 증가할 수는 있다”며 “하지만 건축 자재나 인력을 추가로 대폭 투입해야 하는 등 시장에서 우려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투자증권은 규제가 강화되면 건설사 비용 부담이 실제 얼마나 증가할지를 시뮬레이션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장마철,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을 규제하거나 기초, 골조 공사 현장 감독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철근 콘크리트 공사 등 총 10개 항목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설 현장마다 다르지만 A아파트의 경우 관련 10개 항목의 건축비가 건설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였다.강경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건설을 예로 들었을 때 10개 항목의 공사원가가 100% 오른다고 가정하면 대우건설의 올해 매출총이익률은 기존 추정치 대비 22%포인트 하락한다”며 “목표 PBR(주가순자산비율) 배수를 0.94배로 동일하게 두면 목표주가는 5800원이 된다”고 설명했다. 원가 부담이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해도 현재 주가보다 목표주가가 높다.

강 연구원은 하지만 “이번 사고로 건설사에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부정적인 경우를 가정해도 건설사 주가는 현재 바닥”이라며 적극적으로 매수할 만하다고 했다. 19일 대우건설은 3.14% 오른 5580원으로 반등했다.

반면 이번 사고를 계기로 건설 업종에 대한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승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전국 현장의 안전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만큼 1분기 공사 진행은 둔화될 것”이라며 “추정치 하향 가능성이 존재해 건설사들의 향후 대응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최근 상승 사이클에 올라탔던 시멘트 등 건자재 업종에 대한 의견도 엇갈렸다. 아세아시멘트는 18일 5.48% 하락한 데 이어 19일에도 1.09% 떨어졌다. 김 연구원은 “공사 기간이 길어지면 건자재 수요도 미뤄질 수 있고, 공사비용에 대한 압박이 자재 가격 상승을 막을 수 있다”며 건자재 업종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이 연구원은 “시멘트는 이번 이슈와 큰 상관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했다”며 “오히려 (주가 부담이 줄어든 만큼) 시멘트 가격 인상으로 인한 수혜와 순환자원 처리시설 투자 등에 주목할 만하다”고 분석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