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서 스마트폰 오래 사용하면 악영향"…말 못할 통증 '치질' [건강!톡]
입력
수정
"겨울만 되면 너무 아파요"
툭 터 놓고 말 못할 고민 치질

겨울철은 치질 환자가 급증하는 계절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치질을 앓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도 어렵다. "치질 있으세요?"라고 물으면 솔직하게 대답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질은 부끄러워도 꼭 치료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다. 치질은 크게 치핵, 치열, 치루 세 가지로 구분된다. '치핵'은 항문 주변 혈관 조직이 돌출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다. 배변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조직에 문제가 생길 때 발생한다. 이를 내치핵, 외치핵이라 부르는데 내치핵은 항문관 위쪽의 정맥총이 문제를 일으킨 경우고 외치핵은 아래쪽 정맥총이 돌출된 경우다.
치열은 항문 입구와 내부 사이 찢어지는 증상으로 배변 시 찢어지는 듯한 통증과 경련을 느낀다. 또 휴지에 밝은 선홍색의 피가 묻어나는 특징이 있다. 이를 방치할 경우 만성화된다.
만성화된 치열에는 고름이 생기는데 이를 배출하기 위해 피부 속 구멍이 뚫리면서 항문 바깥쪽까지 통로가 생기는 것을 치루라고 한다. 이때 생긴 '농양'이라는 고른 주머니가 터지면 분비물이 나온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12월~2월 치핵 수술 건수는 5만 7000여 건으로 한 해 수술의 무려 30%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측은 겨울 추위로 항문 주변의 혈관이 수축하면 혈액 순환에 장애가 생기면서 치핵 증상이 심해진다고 설명한다.

치질의 치료는 경과별로 4단계로 나뉜다. 치핵 1~2기는 항문에서 피가 나며 배변 시 혹이 나왔다가 배변 후 들어간다. 이 때는 좌욕 등의 자가 치료가 가능하다. 치핵 3~4기는 항문 밖으로 돌출된 혹이 억지로 집어넣어야만 들어가거나 혹이 아예 들어가지 않을 때다. 이 시기부터 치료와 수술이 필요한 단계다. 치열과 치루는 보톡스로 수축된 괄약근을 조이는 치료를 하며 만성화된 치루는 농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는다. 수술 후 "삶의 질이 극적으로 향상됐다"는 만족감을 드러내는 환자들이 많다고 한다.
배변 중 피가 비쳤다고 모두 치질이나 치핵은 아니다. 항문 주위에 갈라진 곳이나 농양이 생긴 것이 원인일 수 있다. 대장암일 때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치질에 대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