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열 화성톈청 부총재 "한국 SW기업과 중국 시장 연결하는 가교 되겠다"

이승열 화성톈청 부총재 인터뷰

"한국 SW 경쟁력 높아…한국 제조 현장서 쓰는 SW에 중국도 관심"
"한국 기술의 중국 시장 진출 지원하면서 화성도 성장 가능"
삼성SDS에서 20년 근무…중국 3대 IT서비스업체 화성으로 올해 스카우트
"한국에 기술력은 높지만 해외에 독자 진출할 정도의 여력은 부족한 소프트웨어(SW) 기업이 많습니다. 그런 강소 SW에 대한 중국의 수요도 매우 큽니다. 한국의 기술과 중국의 시장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겠습니다."

중국 3대 정보기술(IT)서비스업체 중 하나인 화성톈청(TEAMSUN·상하이 600410)의 이승열 부총재는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공략 파트너가 되겠다는 전략을 이렇게 소개했다. 이 부총재는 삼성SDS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한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로, 올 1월부터 화성톈청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중국 기업에선 보통 최고경영자(CEO)를 총재, 그 아래 중역을 부총재라 부른다. 이와 별도로 이사는 동사, 이사회 의장을 동사장이라 칭한다.이 부총재는 삼성SDS 중국법인에서 근무하면서 대외사업을 담당했다. 삼성SDS는 삼성전자 등 계열사 업무를 대내, 외부 기업에 SW를 판매하고 시스템을 구축해 주는 일을 대외로 구분한다. 그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 뿐 아니라 중국의 화웨이, 샤오미 등과도 함께 일한 경험을 갖고 있다.

중국의 IT서비스 시장은 화성톈청과 디지털차이나, 랑차오 등 전국 유통망을 갖춘 대기업들이 시스코나 IBM, 지멘스 등 해외 SW 총판권을 확보해 중국 기업들의 요구에 맞춰 수정, 배급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화성톈청은 2004년 상하이거래소에 상장했으며 2020년 기준 매출 39억위안(약 7300억원), 영업이익 7억위안을 올렸다.
이 부총재는 "중국에서도 기업용 SW를 국산화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안전성 문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안전성이 특히 중요한 반도체나 전기차 배터리 같은 첨단 산업 현장에선 여전히 지멘스 등 해외 기업들의 운영체계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이 부총재는 "한국의 보안과 데이터관리 SW 업체들의 경쟁력이 특히 높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반도체 공장에서 운영체계와 별도로 안철수연구소(안랩)나 카스퍼스키(러시아), 시만텍과 노튼(미국) 등의 보안 SW를 쓰는데, 보안 SW가 불안정하면 주력 운영체계에 영향을 줘 공장 전체 가동을 멈춰버릴 수 있다는 얘기다. 안전성이 떨어지는 SW를 썼다가 천문학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해외 제품을 선호한다는 설명이다.

이 부총재는 "중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차세대 산업 현장에서 한국산 SW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예전에 해외 제품을 쓰던 한국의 제조 현장에서 이제 안랩(보안)이나 티맥스소프트(데이터베이스), 파이어링크(방화벽) 등의 SW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삼성전자와 LG화학 등에서 쓰는 한국산 SW들은 성능은 세계 최고 수준인데 가격 경쟁력도 높아 중국 기업들도 활용하기를 원하지만 접점이 없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또 "한국 SW 기업들은 독자적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할 여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중국 전국 유통망을 가진 화성톈청이 중개 역할을 하면 한국과 중국 기업들이 '윈-윈'하는 사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일각에선 중국 기업들과 거래하는 한국 기업들이 기술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이 부총재는 이에 대해 "외부 사람이 20년 넘게 전문성을 쌓은 한국의 SW의 핵심 코드를 풀어내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SW를 사서 뜯어보고 복제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중국 업체들이 진작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