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진 1주일새 '두 배'…방역체계 전환 초읽기
입력
수정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코로나19 유행 규모가 계속 커지면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8천명에 근접하는 등 폭증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번지는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 고위험군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초점을 두고 방역·의료체계를 전환할 예정이다.유행 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져 하루 확진자가 수만명씩 쏟아져 나오게 되면 지금의 '3T(검사·추적·치료)' 중심의 전략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7천630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이후 두 번째로 많다. 최다 기록은 지난달 15일의 7천848명이다. 토요일(발표일로 일요일) 기준으로는 역대 최다 수치다. 앞서 토요일 기준 최다치는 지난달 12일의 6천683명이었다.앞서 '감염 취약층'으로 꼽히는 60대 이상을 중심으로 백신 3차 접종이 진행되고 지난달 18일부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신규 확진자 수는 3천명대까지 떨어졌으나, 오미크론 확산으로 다시 뚜렷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17일부터 최근 1주간 상황을 보면 3천857명→4천70명→5천804명→6천601명→6천767명→7천8명→7천630명으로 하루 평균 5천962명이다. 6일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달에는 신규 확진자의 80% 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으나, 최근에는 수도권 확진자 비중이 60%대로 낮아지는 등 유행의 전국화 양상도 뚜렷한 상황이다.검사 건수 대비 확진자 수를 나타내는 양성률은 이날 0시 기준 4.38%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4%를 기록하는 등 주요 방역지표는 계속 악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규 확진자 수가 앞으로 더 늘 것으로 내달 초중순 2만명대로 증가하고, 특별한 방역조치가 없다면 확진자가 앞으로 10만명 이상 나올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7천명을 넘는 등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가 현실이 되자, 당국은 방역체계를 '오미크론 대응 단계'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당국은 우선 방역 부담을 줄이기 위해 26일부터 백신접종을 완료한 확진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줄인다.
또 같은 날부터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오미크론 우세화 지역 4곳에서 새 방역체계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4개 지역에서는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가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만 선별진료소에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할 수 있다.
이외 검사 희망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집 근처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후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게 된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지금껏 겪어보지 못한 규모로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당국은 이달 말 설 연휴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급격히 확산, 신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아직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신규 확진자 수 증가와 2주 정도 시차를 두고 늘어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와 비교해 위중증률이 5분의 1까지 떨어진다고 보고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앞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이 적어 피해 규모를 해외 각국과 단순 비교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에 더해 재택치료자가 수백만 명으로 늘 수 있는 상황에서 지금의 행정인력으로 이들의 생활을 지원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또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 환자와 접촉자 등의 격리로 인해 의료나 교육, 돌봄 같은 필수 기능이 마비되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당국은 이에 대비해 분야별 '업무지속계획'(BCP)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앞서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오미크론 대유행은 짧게는 2달, 길게는 4달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직장이나 가족 중 다수가 격리되는 상황에 대비하고, 고위험군 보호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번지는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 고위험군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초점을 두고 방역·의료체계를 전환할 예정이다.유행 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져 하루 확진자가 수만명씩 쏟아져 나오게 되면 지금의 '3T(검사·추적·치료)' 중심의 전략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7천630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환자가 나온 이후 두 번째로 많다. 최다 기록은 지난달 15일의 7천848명이다. 토요일(발표일로 일요일) 기준으로는 역대 최다 수치다. 앞서 토요일 기준 최다치는 지난달 12일의 6천683명이었다.앞서 '감염 취약층'으로 꼽히는 60대 이상을 중심으로 백신 3차 접종이 진행되고 지난달 18일부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면서 신규 확진자 수는 3천명대까지 떨어졌으나, 오미크론 확산으로 다시 뚜렷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17일부터 최근 1주간 상황을 보면 3천857명→4천70명→5천804명→6천601명→6천767명→7천8명→7천630명으로 하루 평균 5천962명이다. 6일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달에는 신규 확진자의 80% 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으나, 최근에는 수도권 확진자 비중이 60%대로 낮아지는 등 유행의 전국화 양상도 뚜렷한 상황이다.검사 건수 대비 확진자 수를 나타내는 양성률은 이날 0시 기준 4.38%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4%를 기록하는 등 주요 방역지표는 계속 악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규 확진자 수가 앞으로 더 늘 것으로 내달 초중순 2만명대로 증가하고, 특별한 방역조치가 없다면 확진자가 앞으로 10만명 이상 나올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7천명을 넘는 등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가 현실이 되자, 당국은 방역체계를 '오미크론 대응 단계'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당국은 우선 방역 부담을 줄이기 위해 26일부터 백신접종을 완료한 확진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줄인다.
또 같은 날부터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오미크론 우세화 지역 4곳에서 새 방역체계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4개 지역에서는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가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만 선별진료소에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할 수 있다.
이외 검사 희망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집 근처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후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게 된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지금껏 겪어보지 못한 규모로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당국은 이달 말 설 연휴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급격히 확산, 신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아직 400명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신규 확진자 수 증가와 2주 정도 시차를 두고 늘어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와 비교해 위중증률이 5분의 1까지 떨어진다고 보고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앞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이 적어 피해 규모를 해외 각국과 단순 비교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에 더해 재택치료자가 수백만 명으로 늘 수 있는 상황에서 지금의 행정인력으로 이들의 생활을 지원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또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 환자와 접촉자 등의 격리로 인해 의료나 교육, 돌봄 같은 필수 기능이 마비되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도 있다.
당국은 이에 대비해 분야별 '업무지속계획'(BCP)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앞서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오미크론 대유행은 짧게는 2달, 길게는 4달 정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직장이나 가족 중 다수가 격리되는 상황에 대비하고, 고위험군 보호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