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때마다 나스닥은 더 뛰었다
입력
수정
지면A1
평균 10~40% 올라 '호황'세계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제로 수준으로 떨어뜨린 정책금리를 인상할 채비를 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서다. Fed는 그동안 사들인 미 국채도 이르면 올 상반기 매각(양적긴축)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미국 증시뿐 아니라 글로벌 증시도 추락하고 있다. 올 들어 25일까지 나스닥지수는 13.5%, 다우지수는 5.6%, S&P500지수는 8.6% 하락했다. 코스피지수 역시 올 들어 26일까지 9.0% 떨어졌다.
이번엔 악재 많아 다를수도
하지만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25년간 Fed가 금리를 인상했을 때의 증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장기적으론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조정받지만, Fed가 금리 인상에 나선다는 자체가 경제가 그만큼 괜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Fed의 금리 인상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면 호전되는 기업 실적이 반영돼 매수심리가 다시 살아나는 것으로 파악됐다.Fed는 ‘닷컴 버블(거품)’로 과열된 시장을 식히기 위해 1999년 6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기준금리를 연 4.75%에서 연 6.50%로 올렸다. 이 기간에 코스피지수(매월 말 종가 기준)는 -0.6%, 다우지수는 -0.4%로 약보합 수준을 보인 반면 나스닥지수는 37.7%나 뛰었다.
Fed는 물가가 3%대로 치솟던 2004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기준금리를 연 1.0%에서 연 5.25%로 높였다. 이 기간에 코스피지수는 61.1%, 다우지수는 9.4%, 나스닥지수는 9.3%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상흔이 옅어진 2015년 1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도 Fed는 기준금리를 연 0~0.25%에서 연 2.25~2.50%로 높였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는 2.5%, 다우지수는 31.7%, 나스닥지수는 29.9%나 뛰었다.
Fed 금리 인상 초반엔 단기 조정…중장기론 상승
미국 중앙은행(Fed)이 정책금리를 올릴 때 특징은 상당 기간 지속적으로 인상한다는 점이다. 금리 인상기는 2~3년 지속되며 인상폭도 2~4%포인트에 이른다. Fed가 금리를 올리면 단기적으로 증시는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지면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다.2004년 6월~2006년 6월이 대표적 사례다. 금리는 연 1.0%에서 연 5.25%로 올라갔다. Fed가 금리 인상을 시작한 초반 두 달 나스닥지수는 7.5%가량 하락했다. 하지만 나스닥지수는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금리를 인상하기 전보다 2년간 9.3% 올랐다. 금리 인상 후 저점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18%에 이른다.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벗어나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2015년 12월~2018년 12월 상황도 같다. 이때 Fed는 정책금리를 제로 수준(연 0~0.25%)에서 연 2.25~2.50%로 끌어올렸다. 나스닥지수는 2016년 2월 말까지 10.8%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상승 랠리를 지속하며 3년간 30% 뛰었다.통상 금리 인상은 자산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 자산가격 경로를 타고 주식을 비롯한 자산가격의 상대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자비용이 불어나는 만큼 주식·부동산 투자 유인도 꺾인다. 이 같은 통념에 바탕해 금리 인상 초기에는 주가가 조정 흐름을 보인다.
하지만 정책금리 인상은 실물경제가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펼치는 통화정책이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의 통념과 실제는 다르다고 지적한다. 금융연구원은 2016년 발표한 ‘자산가격 경로를 통한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대한 고찰’ 연구보고서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기준금리 인상이 주식과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이번 금리 인상기는 과거와 다를 것이란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코로나19 재확산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우크라이나 사태, 미·중 갈등 등 악재가 널려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통화정책 완화와 긴축이란 본질은 같기 때문에 증시 영향도 과거와 비슷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금리 인상기 초반엔 경제가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것보다 금리 인상을 더 중요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 단기 충격이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