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지역 시민단체가 '경기용인플랫폼시티 개발사업'이 제2의 대장동사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이에 용인시는 "왜곡된 주장"이라며 반박했다.
27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경기용인플랫폼시티는 경기도·GH(경기주택도시공사)·용인시가 6조2천851억원을 투입해 보정·마북·신갈동 275만7천㎡를 자족 기능을 갖춘 첨단산업 거점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투자 지분은 GH(95%), 용인도시공사(5%)로, 올해 보상 절차를 마무리한 뒤 2023년 상반기 착공해 2029년 상반기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지역 주민 등이 포함된 '용인플랫폼시티환수 시민행동'은 이 사업과 관련해 지난 18일에 이어 26일 "총사업비의 95%를 출자한 GH가 개발이익금의 95%를 가져가도록 설계돼 제2의 대장동을 연상케 한다"며 "경기도에 모든 걸 내어주고 무책임한 행정을 이어가고 있는 용인시는 즉각 사죄하고 사업계획을 수정하라"고 요구했다.
용인시는 이에 대해 '해당 의혹이 사실이 아니다'라는 보도자료를 낸 데 이어 이날 백군기 시장이 직접 나서 "일부 세력의 일방적이고 악의적인 주장"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백 시장은 "경기용인플랫폼시티는 집요한 민간개발 요구를 물리치고 개발이익을 용인시에 재투자하기 위해 GH와 용인도시공사가 공동개발하는 100% 공영개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국적으로 유례없는 모범사례에 대해 경기도에 모든 걸 내어줬다는 식의 일방적이고 왜곡된 주장은 공직자와 지역주민에게 큰 실망을 주고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사업을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고 불안감을 조장해 사업 자체를 폄훼하려는 일부 세력에 대해 엄중히 경고한다"면서 "시민 여러분은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격려와 협조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백 시장은 "GH가 100% 출자한 광교신도시 사업의 개발이익이 개발 부지의 편입 면적에 따라 용인시와 수원시에 재투자된 것처럼 플랫폼시티도 GH가 2018년 9월 사업 참여를 제안하면서 개발이익금은 용인시에 재투자하겠다고 서면으로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개발이익금 발생 시점이 2029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만큼 세부 이행방안은 공동사업시행자들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공공개발로 땅이 수용된 토지주들에게 현금 대신 대토보상을 통해 개발 이익을 공유할 것"이라며 "의도적인 흠집 내기로 순항하고 있는 플랫폼시티 개발사업을 폄훼하는 것을 멈춰 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