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어택시, 교통을 바꾸다…스타트업 新기술 러시
입력
수정
대기업·스타트업 모두 R&D 총력, 새 시장 눈독[스페셜 리포트]

전기차 시장은 제조사와 부품, 배터리 기술, 충전 네트워크 구축 업체 등으로 구분된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의 파워트레인을 대체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수적이다. 동력을 만드는 모터, 전기의 특성을 제어하는 플랫폼,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지팩으로 구성된다.
전기차 파워트레인은 원가 측면에서도 부품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이 기술력이 해당 시장에서의 대표 경쟁력이다.
전기차 플랫폼도 핵심 요소다. 현대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개발해 엔진·변속기·연료탱크 등이 차지하던 공간을 없애고 실내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 1회 충전으로 한국 기준 500km 이상 주행할 수 있고 800볼트 충전 시스템을 기본으로 지원해 급속 충전기 사용 시 18분 안에 80% 충전이 가능하다.
블룸버그는 전기차 분야가 2020년 1조230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33.7% 커져 2025년 4조366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25년 전 세계 신차 판매량 중에선 12.8%가 전기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3.3%에 불과했던 전기차가 5년 만에 4배 정도 점유율을 높이는 셈이다.

에어택시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선봉이다. 항공기 자체에 내장돼 있는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전력으로 전기 모터를 구동해 추진력을 얻는 전기동력수직이착륙기(eVTOL)가 활용된다.
eVTOL은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해 도심 환경에서도 운용할 수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9월 eVTOL의 비행 시험을 진행해 상용화를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한국 역시 대기업을 중심으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에어택시는 전기로 구동돼 기존 항공 모빌리티인 헬리콥터보다 운영 비용이 매우 적게 든다”며 “소음 수준이 낮은 점도 도심에 잘 어울리고 탄소 배출이 없는 교통수단인 점도 에어택시의 성장에 큰 몫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호승 기자 y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