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확진 늘어도 위중증 적은 오미크론, '공포방역'으론 안 된다
입력
수정
지면A31
설 연휴 마지막 날인 어제 0시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2만 명을 돌파(2만270명)했다. 연휴 중 검사 건수가 절반으로 감소(1월 28일 73만 명→31일 35만 명)했는데도 확진자 수는 거꾸로 역대 최대로 늘었다. 확진자 10명 중 8명이 델타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강한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탓이다. 코로나에 한 번 걸렸던 사람도 재감염될 수 있고, 전파력이 더 강한 ‘스텔스 오미크론’까지 등장해 이 사태가 얼마나 악화할지 가늠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차분하고 냉정하게 사태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델타의 5분의 1(0.16%) 수준으로 덜 위험하다는 사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작년 말 하루 50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올 때 위중증 환자 수가 1100명대였지만, 지금은 200명대(2일 278명)다. 더군다나 한국은 높은 백신 접종률(2차 접종률 85.5%), 경구용 치료제 도입 등 여건이 좋다. “노약자나 기저질환자가 아니라면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모두 응급실로 달려가는 우(愚)를 범해선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 하루 8만 명씩 확진자가 나오는 일본에서도 긴급사태 발령에 신중한 이유다.때마침 정부도 오미크론 대응을 위해 오늘부터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를 가동한다. 이제 전국 선별진료소에선 60세 이상 고위험군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고, 그 외 검사 희망자는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거쳐야 한다. 동네 병·의원도 증상 조사, 치료 등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이런 방역체계 변화를 계기로 그동안의 방역정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반성이 필요하다. 서비스업 영업제한, 방역패스 등에서 일관성 없고 납득하기 힘든 정책을 쏟아낸 것이 코로나 공포에 기댄 행정편의주의는 아니었는지 돌아볼 일이다. 델타 변이 때와 같은 공포 방역은 엔데믹(풍토병)화하는 오미크론에는 맞지 않는다. 대신 보건소·동네의원의 역할 구분과 협력, 재택치료 역량 확대 등 시스템 완비가 중요하다. 그런데도 동네 병·의원들이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에 얼마나 참여할지 아직도 깜깜이라고 한다. 코로나 방역도 2년을 넘었는데 더 이상 시행착오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차분하고 냉정하게 사태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델타의 5분의 1(0.16%) 수준으로 덜 위험하다는 사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작년 말 하루 500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올 때 위중증 환자 수가 1100명대였지만, 지금은 200명대(2일 278명)다. 더군다나 한국은 높은 백신 접종률(2차 접종률 85.5%), 경구용 치료제 도입 등 여건이 좋다. “노약자나 기저질환자가 아니라면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모두 응급실로 달려가는 우(愚)를 범해선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에 귀 기울여야 한다. 하루 8만 명씩 확진자가 나오는 일본에서도 긴급사태 발령에 신중한 이유다.때마침 정부도 오미크론 대응을 위해 오늘부터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를 가동한다. 이제 전국 선별진료소에선 60세 이상 고위험군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고, 그 외 검사 희망자는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거쳐야 한다. 동네 병·의원도 증상 조사, 치료 등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이런 방역체계 변화를 계기로 그동안의 방역정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반성이 필요하다. 서비스업 영업제한, 방역패스 등에서 일관성 없고 납득하기 힘든 정책을 쏟아낸 것이 코로나 공포에 기댄 행정편의주의는 아니었는지 돌아볼 일이다. 델타 변이 때와 같은 공포 방역은 엔데믹(풍토병)화하는 오미크론에는 맞지 않는다. 대신 보건소·동네의원의 역할 구분과 협력, 재택치료 역량 확대 등 시스템 완비가 중요하다. 그런데도 동네 병·의원들이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에 얼마나 참여할지 아직도 깜깜이라고 한다. 코로나 방역도 2년을 넘었는데 더 이상 시행착오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