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사 "非고철·전기료 상승도 가격 반영"…조선·건설사 '비상'
입력
수정
지면A25
원자재값 오르며 비용 눈덩이…'스틸플레이션' 본격화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하면서 작년부터 시작된 철강 제품 가격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급격한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전기료 인상까지 예고돼 철강업계의 비용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제품 가격의 추가 인상도 예상된다. 업계에선 전자·자동차·조선·건설 등 주요 산업의 원료인 철강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높아지는 ‘스틸플레이션(스틸+인플레이션)’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탄소감축 위해 투입 늘어난 고철값 1년새 50% 급등
현대제철 "새 가격기준 책정"…車강판 등 가격 들썩
현대제철, 새 가격 책정 기준 도입
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 철근 생산사인 현대제철은 기존 철근·봉형강류 가격 책정 기준을 변경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과거엔 철스크랩(고철) 시세를 주로 고려해 등락폭을 결정하면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최근엔 다른 원료의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전기, 전극봉, 합금철 등 생산에 필요한 주요 원료 가격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현대제철은 전체 생산 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전기료와 비(非)고철 원료 가격 변화를 제품 가격 책정 기준 변경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
우선 전체 생산비용에서 약 10%를 차지하는 전기료는 오는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두 자릿수대 인상이 예고돼 있다. 전기로에서 고철을 녹일 때 함께 투입하는 흑연 막대인 전극봉의 1월 말 기준 국제 가격은 개당 약 1만8000위안으로 1년 전에 비해 50% 정도 올랐다. 바나듐, 몰리브덴 등 제품 특성을 맞추기 위해 투입하는 합금철 가격도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여기에 주 원료인 고철 가격은 13년 만에 최고 수준인 t당 60만원 선을 넘어섰다. 현대제철이 이달 유통하는 철근 가격을 전월 대비 약 3% 인상한 107만원 선으로 정한 이유다. 2월 철근 가격에는 아직 가격 인상이 현실화하지 않은 전기를 제외한 나머지 원료의 시세 변동분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전기료 인상이 이뤄지면 2% 이상의 추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 제품 가격에 반영할 변수가 늘어나고 있다”며 “다른 제강사들도 원료값 변동폭을 더 정밀하게 제품 가격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석탄·아연 가격 폭등, 강판도 인상 압력
철근뿐 아니라 자동차강판, 조선용 후판 등 판재류 가격도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사들은 작년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자동차강판 가격을 5~10% 정도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두 제품군 모두 지난해 이미 각각 20%, 40%가량 가격이 올랐다.이는 작년 5월 역대 최고치인 t당 233달러를 기록한 국제 철광석 가격이 140달러대로 40%가량 하락한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하지만 제철용 원료탄 가격은 3일 기준 t당 442.9달러로 작년 저점 대비 4배가량 상승했다. 통상 고로에 투입하는 철광석과 석탄의 비율이 7 대 3임을 감안하면 원가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게 철강업계의 설명이다.철강 제품의 내구성,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쓰는 아연, 알루미늄, 니켈 등 비철금속 가격 역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0~50% 뛰었다. 철강업체 관계자는 “공장을 돌리는 데 필요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작년 한 해 2배 올랐다”며 “탄소감축 기술 개발에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고 있어 제품값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철강제품 가격이 오르는 스틸플레이션이 본격화하면 자동차, 조선, 전자 등 한국 주력 산업의 원가 부담이 늘면서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통상 자동차 원가에서 강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조선은 30% 수준이다. 철근이 아파트 공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6%에 달한다.업계에선 탈원전 등 정부의 급격한 탄소중립 행보도 원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한 철강업체 임원은 “최근 철강업계는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석탄을 태우는 고로 대신 전기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며 “전기 수요는 점점 느는데 정부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