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 온 문자에 눈앞이 캄캄…잠 못 이루는 '영끌족'

국채금리 폭등에 대출금리 더 뛴다

국고채 3년물, 연 2.3% 돌파…2018년 이후 처음
美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채권금리 더 오를 듯
주담대 고정 금리는 이미 6% '코앞'
사진=뉴스1
#. 지난해 서울 강서구에서 첫 자가 마련에 성공한 박정민(가명)씨는 최근 은행에서 온 대출금리 안내 문자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는 "지난해 변동금리로 2.83%로 주담대를 빌렸는데, 1년 만에 3.83%로 변경됐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지난 1월에 이어 올해 기준금리를 또 올린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앞으로는 얼마나 오를지 눈앞이 깜깜하다"고 토로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채금리까지 폭등하면서 대출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나 변동금리를 선택한 차주들은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면서 이자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서울 채권시장에 따르면 전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66%포인트 오른 연 2.303%로 마감했다.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3년여만에 연 2.3%를 넘었다. 종가 기준으로 2018년 5월15일(연 2.312%) 이후 최고 수준이다. 10년물 금리는 0.095%포인트 상승한 연 2.733%로, 2018년 6월7일(연 2.75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추가경정예산(추경) 규모가 정부가 계획한 14조원보다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14조원 규모 추경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여당은 35조원, 야당인 국민의힘은 50조원의 추경안을 각각 요구했다.

당장 추경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선 적자국채 발행이 불가피하다. 정치권 요구대로 추경 규모가 확대될 경우 적자국채는 30조원 이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시중에 국채 물량이 쏟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채권금리가 오르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같은 채권금리 상승은 금융채(5년 만기) 등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보금자리론은 국고채 5년물을 기준으로 두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금융채 5년물을 지표금리로 삼고 있다.

당분간 채권금리의 오름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채권 금리에 연동되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8일(현지시간) 1.97%까지 치솟으면서 2% 돌파를 앞두고 있다. 안재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월 미국 고용지표 발표로 3월 중앙은행(Fed)의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미 채권금리의 추가 상승이 우려된다"며 "여전한 금리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두 차례 올릴 것이라는 관측도 시장금리의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3%대 물가상승률이 좀 더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준금리는 1.75%까지 추가 인상될 것"이라며 "기존 7월 한 차례 인상에서 7월과 4분기 추가 인상으로 전망을 수정한다"고 밝혔다. 이미 시장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지난 4일 기준)는 3.72~5.23%(변동형), 혼합형(고정형)은 3.83~5.64%로, 이미 6%를 코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6월 말엔 변동형은 2.39~4.047%, 혼합형은 2.94~4.58%로 이용이 가능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1년도 채 되지 않아 금리가 크게 뛴 것이다.

이처럼 대출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이자부담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0%포인트 오르면 연간 이자부담은 6조4000억원(1인당 32만원)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나 변동금리를 선택한 차주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 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은 82.3%로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변동금리를 사용 중이라면 당시 적용 받은 가산금리와 현재 가산금리를 비교해보고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것이 유리하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