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자율주행에 1년 주가 83% 급락…라이다 업계, 반등 기회 올까
입력
수정
벨로다인 1년새 주가 83% 급락해
카메라만 쓰는 테슬라 자율주행 영향
AI 기술로 정밀하게 주변 사물 확인
라이다 이용한 양산차 나와야 반등 가능

9일 업계에 따르면 대표적인 라이다 업체 세 곳의 주가는 1년새 크게 하락했다. 벨로다인라이다 주가는 나스닥에서 지난해 2월9일 주당 23.42달러에서 지난 8일 4.04달러로 82.8% 추락했다. 루미나테크놀로지도 같은 기간 나스닥에서 53.8% 급락했다. 이노비즈테크놀로지도 1년간 지속적으로 하락을 거듭해 -67.4%라는 실망스러운 낙폭을 보였다. 테슬라가 자율주행의 표준으로 자리잡으면서 ‘라이다 없이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 영향이다. 라이다를 쓰는 자동차 업체들의 자율주행 구현이 예상보다 느린 점도 벨로다인 등 매출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원인이다.라이다는 그동안 자율주행의 ‘눈(目)’으로 꼽히며 필수 부품으로 여겨져 왔다. 라이다는 물체와 반응하는 레이저의 속도와 깊이로 주변 사물을 인지해 정밀성이 높다. 반면 카메라는 가려져있는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지만 멀리까지 볼 수 있다. 비싸지만 정확도가 높은 라이다, 싸지만 정밀도가 떨어지는 카메라는 안정적인 자율주행을 위한 상호보완 부품이라는 인식이 많았다.
그러나 테슬라는 라이다 없이 카메라 8개로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며 라이다의 활용도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카메라로 인식한 사진 데이터 4000여 장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순식간에 지도를 그려내는 방식을 통해서다. 소프트웨어가 주변 사물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면 라이다 없이도 안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논리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테슬라 차량의 사고율은 2% 미만으로 미국 산업평균인 13%보다 훨씬 낮다”며 “이로 인해 라이다 업체의 기업 가치가 크게 하락했으며, 위기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라이다는 개당 500~1000달러(56만~110만원)로 카메라(5만~10만원)보다 비싸지만, 앞으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라이다는 자율주행 말고도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영역으로 활용이 넓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라이다 기업의 업황이 제대로 반등세에 오르기 위해서는 테슬라 이외의 완성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양산차를 지금보다 빨리 내놓아야한다는 시각이 많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