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2년 '유동성 파티' 즐긴 은행…자산 20%·이익 30% 늘었다
입력
수정
지면A4
금융지주 작년 실적 발표코로나19 사태로 막대한 돈이 시중에 풀리면서 빚어진 ‘유동성 파티’ 국면에서 금융회사들과 가계의 명암이 크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금융지주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2019년 대비 18~38%까지 불어났다. 반면 가계는 2년간 빚이 20%가량 늘었다. ‘빚더미’에 눌려 이자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금융지주 '역대급 실적'
대출이자·수수료 수입 증가 덕에
KB·신한 '순이익 4조 클럽' 입성
우리, 98% 늘어 사상 최대 규모
가계·자영업자는 빚 '눈덩이'
5대은행 가계대출 2년새 16%↑
개인사업자·中企도 25%씩 증가
대출금리 올라 부실 우려 커져
이자·비이자이익 함께 는 ‘꽃놀이 2년’
신한금융은 2021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17% 늘어난 4조19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발표했다.사상 최대이자 첫 4조원대 진입이다. “자산 성장과 기준금리 인상 이후 이자이익 증가, 신용카드·증권·캐피털 등 비은행 부문의 실적 성장이 동시에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이날 우리금융도 지난해 2조587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대비 98% 급증했다. 사모펀드 사태와 코로나19에 대비하기 위한 충당금을 대폭 쌓은 2020년의 기저효과에 한층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사상 최대 규모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날 실적을 발표한 KB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27% 증가한 4조4096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희망퇴직 및 대손충당금 추가전입액 등 5260억원의 추가 비용에도 ‘순이익 4조원 클럽’에 입성했다.
KB금융의 순이익은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에 비해 33%나 증가했다. 신한과 우리금융도 이 기간 순이익 증가율이 각각 18%, 38%에 달한다. 코로나19 저금리 국면에서 개인들이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에 나서면서 이자수입(은행)과 수수료 수입(증권, 보험) 등이 동반 상승하며 전례없는 호황 국면이 조성됐다는 분석이다.주력 계열사인 은행의 덩치는 급격히 불어났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월 말 원화 대출잔액은 1365조832억원으로 2년 전(1145조3327억원)에 비해 19.2% 증가했다. 이 기간 총 수신잔액은 1788조5520억원으로 2년 전 1523조3104억원에 비해 17.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빚 늘고 대출 금리는 고공 행진
코로나19 사태가 금융사에 역대급 호황을 안겨준 것과 달리 개인, 자영업자, 중소기업 등 취약한 경제주체의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월 말 기준 707조6895억원으로 2년 만에 15.7% 증가했다. 이 가운데 대부분이 변동금리인 신용대출 잔액은 137조421억원으로 2년 전 대비 24.9% 불었고, 서민대출인 전세대출은 129조5152억원으로 52.3% 폭증했다. 개인사업자, 중소기업 대출 잔액도 2년 전에 비해 각각 25.4%, 2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대출금리 상승세도 향후 경제주체의 부담을 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은행들이 취급한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연 3.61%로, 2019년 11월 연 2.96%에 비해 0.65%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전망 등으로 시장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어 가계의 이자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자산시장 불안이 확산되는데도 경제주체들은 ‘현금 확보’를 제대로 못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1월 말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666조7769억원으로 2년 전에 비해 단 3.0% 불어났고, 적금 잔액은 34조5492억원으로 2년여간 오히려 11.8%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미 양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행한 총 120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조치가 종료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경제 전반을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다.
한 대형은행 임원은 “은행을 비롯해 2금융권, 대부업체조차 2년간 큰돈을 벌었다곤 해도 금리 인상 이후 부실자산 처리에 상당액이 투입될 것”이라며 “특히 ‘정상여신’으로 분류돼 있지만, 부실 규모를 가늠할 수 없는 자영업자, 그중에서도 다중채무자가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