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졌던 18세기 무신 묘지석 18점, 25년 만에 미국서 귀환
입력
수정
클리블랜드미술관,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협의해 한산이씨 문중 기증 1990년대에 후손들이 보관하다 분실한 뒤 알 수 없는 이유로 미국에 흘러간 18세기 묘지석(墓誌石)들이 약 25년 만에 귀환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이 그동안 소장해 온 '백자청화 이기하 묘지'(白磁靑畵李基夏墓誌) 18점을 한산이씨 정익공파 문중에 기증해 지난 8일 한국에 돌아왔다고 10일 밝혔다.
묘지석 혹은 지석이라고도 부르는 묘지는 죽은 사람의 행적을 적은 돌이나 도자기 판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장례를 치를 때 관과 함께 묘지를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기하 묘지의 주인공인 무신 이기하(李基夏·1646∼1718)는 형조참판과 훈련대장을 역임했다.
고인을 추모하며 만든 묘지에는 가족사, 정치적 업적 등에 관한 내용이 기록됐다.
글을 지은 인물은 이조좌랑을 지낸 이덕수(1673∼1774)다. 그의 문집인 '서당사재'(西堂私載)에도 이기하 묘지 글이 수록됐다.
묘지에는 '숭정 갑신 후 91년 갑인 8월 일 구워 묻다'(崇禎甲申後九十一年甲寅八月 日 燔埋)는 문구가 있어 영조 10년인 1734년에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다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설명했다.
미술사적으로는 백토를 직사각형으로 만들고 청화 안료로 글씨를 쓴 것으로 분석됐다. 묘지 오른쪽 면에는 무덤 주인 관직과 이름은 물론 몇 번째 장에 해당하는지 알려주는 숫자가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오른쪽 단면 글씨를 보면 묘지들이 온전히 한 질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글자 색상도 선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18세기 조선 상층부를 중심으로 제작된 백자 묘지의 전형적 사례"라며 "색조가 안정된 청화 안료를 사용한 묘지는 관요(官窯·관아가 운영한 가마)였던 분원(分院)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기하 묘지는 그의 무덤을 1994년 경기도 시흥에서 이천으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수습됐다.
새로운 묘에 묻지 않고 한산이씨 문중 원로가 보관하던 묘지는 어느 날 홀연히 사라졌고, 1998년 클리블랜드미술관에 기증됐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5∼2016년 이 미술관에서 한국 문화재 실태조사를 진행해 이기하 묘지의 존재를 확인했고, 2020년 보고서 발간 준비 과정에서 원소장자가 한산이씨 문중임을 파악해 관련 사실을 알렸다.
이어 클리블랜드미술관은 재단과 협의를 거쳐 묘지를 한산이씨 문중에 돌려줬고, 문중 대표인 이한석 씨는 이기하 묘가 현재 충남 예산에 있는 점을 고려해 공주 충청남도역사박물관에 기증하기로 했다.
박물관은 4월 초 기증 행사를 열고 특별전을 통해 유물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씨는 "클리블랜드미술관의 훌륭한 결정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응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도 "해외 기관이 묘지를 우리나라에 돌려 보내준 것은 처음"이라며 "미술관이 전문가답고 사려 깊은 방식으로 일을 처리했다"고 평가했다.
재단은 앞서 2017년에도 일본에 건너갔던 '이선제 묘지'의 개인 소장자를 설득해 국내 기증을 이뤄냈다.
1454년 상감 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인 '이선제 묘지'는 지금 국립광주박물관에 있으며, 2018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귀환 과정에서 재단은 1998년 김해공항 감정관이 이 묘지의 반출을 막기 위해 그려놓은 그림을 근거로 도난품임을 입증했다. 일본인 소장자는 불법 반출 사실을 모르고 묘지를 구매했으나, 유물이 '한일 우호의 끈'으로 남기를 기원한다며 기증을 결정했다. /연합뉴스
묘지석 혹은 지석이라고도 부르는 묘지는 죽은 사람의 행적을 적은 돌이나 도자기 판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장례를 치를 때 관과 함께 묘지를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기하 묘지의 주인공인 무신 이기하(李基夏·1646∼1718)는 형조참판과 훈련대장을 역임했다.
고인을 추모하며 만든 묘지에는 가족사, 정치적 업적 등에 관한 내용이 기록됐다.
글을 지은 인물은 이조좌랑을 지낸 이덕수(1673∼1774)다. 그의 문집인 '서당사재'(西堂私載)에도 이기하 묘지 글이 수록됐다.
묘지에는 '숭정 갑신 후 91년 갑인 8월 일 구워 묻다'(崇禎甲申後九十一年甲寅八月 日 燔埋)는 문구가 있어 영조 10년인 1734년에 제작됐음을 알 수 있다고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설명했다.
미술사적으로는 백토를 직사각형으로 만들고 청화 안료로 글씨를 쓴 것으로 분석됐다. 묘지 오른쪽 면에는 무덤 주인 관직과 이름은 물론 몇 번째 장에 해당하는지 알려주는 숫자가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오른쪽 단면 글씨를 보면 묘지들이 온전히 한 질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글자 색상도 선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18세기 조선 상층부를 중심으로 제작된 백자 묘지의 전형적 사례"라며 "색조가 안정된 청화 안료를 사용한 묘지는 관요(官窯·관아가 운영한 가마)였던 분원(分院)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기하 묘지는 그의 무덤을 1994년 경기도 시흥에서 이천으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수습됐다.
새로운 묘에 묻지 않고 한산이씨 문중 원로가 보관하던 묘지는 어느 날 홀연히 사라졌고, 1998년 클리블랜드미술관에 기증됐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2015∼2016년 이 미술관에서 한국 문화재 실태조사를 진행해 이기하 묘지의 존재를 확인했고, 2020년 보고서 발간 준비 과정에서 원소장자가 한산이씨 문중임을 파악해 관련 사실을 알렸다.
이어 클리블랜드미술관은 재단과 협의를 거쳐 묘지를 한산이씨 문중에 돌려줬고, 문중 대표인 이한석 씨는 이기하 묘가 현재 충남 예산에 있는 점을 고려해 공주 충청남도역사박물관에 기증하기로 했다.
박물관은 4월 초 기증 행사를 열고 특별전을 통해 유물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씨는 "클리블랜드미술관의 훌륭한 결정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응천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도 "해외 기관이 묘지를 우리나라에 돌려 보내준 것은 처음"이라며 "미술관이 전문가답고 사려 깊은 방식으로 일을 처리했다"고 평가했다.
재단은 앞서 2017년에도 일본에 건너갔던 '이선제 묘지'의 개인 소장자를 설득해 국내 기증을 이뤄냈다.
1454년 상감 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인 '이선제 묘지'는 지금 국립광주박물관에 있으며, 2018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귀환 과정에서 재단은 1998년 김해공항 감정관이 이 묘지의 반출을 막기 위해 그려놓은 그림을 근거로 도난품임을 입증했다. 일본인 소장자는 불법 반출 사실을 모르고 묘지를 구매했으나, 유물이 '한일 우호의 끈'으로 남기를 기원한다며 기증을 결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