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왕 됐다"…렉서스 제치고 美 1위 등극한 한국차
입력
수정
기아, JD파워 내구품질평가 첫 1위 차지
현대차 3위, 제네시스는 4위
현대차그룹은 JD파워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2022년 VDS'에서 145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VDS는 차량을 구입한 지 3년이 지난 고객을 대상으로 184개 항목에 대한 내구품질 만족도를 조사한 뒤 100대당 불만 발생 건수를 수치화하는 방식으로 집계한다. 점수가 낮을수록 불만이 적고, 품질 만족도가 높다는 의미다.JD파워의 IQS와 VDS는 세계 최고 권위의 품질 조사로 꼽힌다. 이번 VDS는 2018년 7월~2019년 2월까지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을 대상으로 했다. 32개 브랜드의 139개 모델이 평가 대상이었다. 현대차는 148점을 받아 3위였다. 전년(7위) 대비 네 계단 올랐다. 제네시스(155점)는 고급 브랜드 중 1위, 전체 브랜드 중 4위를 기록했다. 2위는 뷰익(147점)이었다. 평소 VDS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던 도요타와 렉서스는 각각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유럽 브랜드는 대부분 기대 이하의 성적을 기록했다. 포르쉐(7위)를 제외하면 10위 내 유럽 브랜드가 없었다.
자동차업계에서는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의 품질에 대한 집념이 맺은 결실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에서 '싸구려 차'라는 인식이 강했다. 정 명예회장은 1999년 현대차그룹 회장에 취임한 직후 '품질 경영'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면서 분위기 반전에 나섰다. 품질총괄본부를 구성해 매달 품질 관련 회의를 열기도 했다.
이후 현대차와 기아차의 IQS 순위는 극적으로 뛰어올랐다. 2013년 두 브랜드는 공동 10위에 그쳤지만 2015년 기아차가 2위, 현대차가 4위로 뛰었다. 2016년엔 기아차가 사상 처음 1위에 올랐다. 2018년과 지난해엔 현대차그룹 3대 브랜드(제네시스 포함)가 1~3위를 나란히 차지했다.하지만 현대차그룹 3개 브랜드는 VDS에서 좀처럼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이 때문에 미국 현지에서 "현대차그룹 자동차는 시간이 지나면 품질이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비아냥이 나오기도 했다. 업계 전문가들이 이번 VDS 결과를 의미있게 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사 결과 발표가 기아를 비롯한 현대차그룹 브랜드의 미국 판매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많은 미국 소비자가 JD파워의 조사 결과를 구매 기준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