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항원·PCR 장점만 뽑아낸 '형광진단키트'…올해 생산 두배 늘릴 것"
입력
수정
지면B3
최의열 바디텍메드 대표
정확도 90%대…15분만에 진단
유럽에 약물농도키트 수출 논의

최의열 바디텍메드 대표(사진)는 15일 “올해 진단키트 생산 능력을 지난해 대비 2배로 늘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바디텍메드는 지난해 1~3분기 매출 1209억원을 기록한 진단업체다.바디텍메드는 항원진단키트를 공급 중인 다른 진단기업들과는 다른 길을 걷고 있다. 국내 업체들이 최근 공급 확대에 나서고 있는 진단제품은 금 입자를 이용한 신속 항원진단키트다. 15분이면 검사 결과가 나오는 자가진단키트가 여기에 속한다. 바디텍메드도 신속 항원진단키트를 공급하고 있지만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은 별도 검사장비를 이용한 항원진단키트다. 금 입자 대신 형광 물질을 이용해 양성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이다.
형광진단 방식은 기존 신속진단 방식과 PCR 방식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기존 신속진단 방식은 빠르게 결과를 알 수 있지만 정확도가 80~90% 수준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바이러스 양이 적은 감염 초기 확진자를 선별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PCR 방식은 99% 정확도로 초기 감염자까지 골라낼 수 있지만 수억원대 고가 장비를 써야 하고 2시간은 지나야 결과를 알 수 있다.
형광진단 방식은 PCR 방식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백만원대 소형 장비를 이용한다. 15분이면 결과가 나오고 90% 내외 정확도를 지닌다. 최 대표는 “PCR 방식만큼 적은 양의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없지만 기존 신속진단 방식보다는 초기 감염자를 선별하는 데 적합하다”며 “한 번에 검사하는 검체 수를 장비 종류별로 1·6·10개로 나눠 휴대 가능한 크기로 장비를 소형화했다”고 설명했다. 편의성, 속도, 비용 등에서 기존 진단 방식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바디텍메드는 매출의 90%를 해외 50여 개국에서 내고 있다. 기존 신속진단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지만 PCR 장비를 도입하는 데 부담을 느끼는 중소 의료시설 위주로 제품을 공급해왔다. 최근 코로나19 진단 수요가 늘면서 국내 병·의원 200여 곳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바디텍메드는 이 검사장비에 적용 가능한 시약을 60여 종 보유해 코로나19 외 다른 질환에도 장비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바디텍메드는 지난해 연간 6000만 개였던 진단키트 생산량을 올해 두 배인 1억2000만 개로 늘리기로 했다. 올 7월 완공을 목표로 춘천에 생산시설을 증설 중이다. 코로나19가 풍토병화되면서 형광진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데 따른 것이다. 독감도 초기엔 의료 현장에서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가 주로 쓰이다가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형광진단 위주로 시장 재편이 이뤄졌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유행 이후를 대비한 후속 제품도 개발하고 있다. 바디텍메드는 항체치료제의 체내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치료약물 농도감시(TDM) 키트’를 개발 중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TDM 키트를 셀트리온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인 램시마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 등 3종의 TDM 키트를 내놨다.올해엔 5종을 추가 개발할 예정이다. 램시마는 류머티즘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에 처방하는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최 대표는 “유럽 항체치료제 공급사와 TDM 키트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라며 “비타민D, 여성호르몬 등도 형광진단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질병은 물론 건강관리 영역까지 형광진단 시장을 넓혀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