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캔 만원'에 재미 좀 봤는데…"이젠 팔아봐야 남는 게 없다"
입력
수정
밀·홉 등 원재료 60% 이상 급등국내 맥주기업들 영업이익이 줄고 있다. ‘코로나19 특수’로 맥주 소비는 늘고 있지만 생산원가 및 영업비용이 급증하면서다. 원자재 가격이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어 당분간 급격한 수익성 개선은 힘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맥주업체들은 “많이 팔아봐야 남는 게 없다”고 아우성이다. 때문에 소비자 가격 인상 움직임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4월엔 주세 인상 예고돼 있어
하이트진로·제주맥주 등
매출 늘어도 이익 큰폭 감소
원가 압박에 가격 또 올릴수도
1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수제맥주 점유율 1위인 제주맥주는 지난해 적자를 봤다. 영업손실은 72억4889만원에 달해 전년(2020년)보다도 적자 규모가 커졌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88억3891만원으로 33.8% 증가했지만 수익은 내지 못했다. 라거맥주를 생산하는 하이트진로도 수익성이 악화됐다. 지난해 영업익 1741억원으로 직전 해 대비 12.3% 감소했다. 매출이 2조2029억원으로 2.4% 줄어든 것에 비해 감소 폭이 더 컸다.사회적 거리두기로 '홈술' 수요가 높아진 가운데 맥주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분위기와는 전혀 딴판인 실적이다.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업제한 등의 조치로 식당이나 가게들의 맥주 수요가 줄어든 여파가 컸다.수제맥주 시장의 경우 새로운 것을 찾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MZ세대의 관심까지 이어지며 시장 규모가 크게 커진 상황이다. 국내 수제맥주 시장 규모는 2020년 1180억원으로 2019년 800억원 대비 47.5%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1800억원까지 성장한 것으로 추정할 정도다.
그러나 원자재값 상승이 발목을 잡았다. 맥주의 주재료인 홉이나 밀 가격은 지난해엔 최대 60%까지 뛰는 등 2012년 이후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운송비마저 크게 올라 가격 상승 압박이 크다. 맥주 캔을 만드는 데 필요한 알루미늄 현물 가격도 지난달 t당 3107달러(약 375만원·런던금속거래소 기준)로 1년 전보다 55% 치솟는 등 원자재 가격이 잇따라 급등했다.‘4캔 1만원’이나 ‘1만1000원’ 등 할인 행사 과열 경쟁도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줬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맥주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4캔 1만원대 가격이 10여년째 유지되고 있다”며 “수입맥주가 처음 한국시장에 진출할 때 묶음 할인 판매를 시작한 것이 굳어져 소비자가격에 물가상승을 전혀 반영할 수 없는 구조가 고착화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묶음 판매행사를 진행하지 않으면 아예 소비자들 선택조차 받을 수 없어 제조사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4캔 1만원 가격정책을 채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수익성 악화는 당분간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원자재 값 상승 추세가 쉽게 완화될 기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 매출원가는 매출액의 절반을 넘어선 상황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분석해보면 국내 수제맥주 기업들의 매출원가율은 60%를 넘어섰다. 라거맥주를 생산하는 대기업 맥주업체들도 매출원가율이 40%에 달한다. 원가가 늘어나는 만큼 물건을 팔고 남는 돈은 줄어든다. 최근 “국내 시장에서 맥주 장사하기 어렵다”는 말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세금이 높아지는 점도 업황엔 부정적 요소다. 정부는 올해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주세를 L당 20.8원(2.49%) 인상하기로 했다. 상승분이 지난해 주세 인상분(L당 4.1원)보다 5배 커졌다. 맥주업계가 사면초가에 빠진 사이에 프리미엄 주류 시장은 와인이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와인 수입량은 3억3002만달러(약 3937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올해는 매출 1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매출을 끌어올린 1등 공신은 ‘5만원대’ 이상 값비싼 와인들이다.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 이상 와인의 매출은 55% 상승, 전체 와인 매출 성장률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맥주업계도 제품 가격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수입 맥주는 물류비 증가, 원자재 가격 급등 여파로 이미 지난해 말부터 가격이 오르고 있다. 수입맥주 1위인 하이네켄코리아가 지난해 12월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하이네켄과 에델바이스, 타이거 등 대표 제품의 묶음(4캔) 가격을 1만1000원으로 올렸다. AB인베브가 파는 스텔라아르투아, 호가든, 하이트진로의 블랑1664, 산미상사의 산미구엘 등도 줄줄이 가격을 올리며 ‘4캔 묶음 할인’에서 이탈하는 제품이 늘었다. 젊은층 중심으로 인기인 편의점 수제맥주 광화문, 경복궁, 남산 등도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오비맥주, 하이트진로 등 라거 캔맥주 인상도 곧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이들 회사는 지난해 주세 인상분을 반영해 업소용 병맥주(소병)와 가정용 페트병 등의 출고가를 평균 1.36% 올렸다. 프리미엄 맥주 출시에도 힘을 쏟고 있다. 최근 제주맥주는 블루보틀 커피와 함께 개발한 한정판 맥주인 ‘제주맥주 배럴 시리즈: 블루보틀 커피 에디션’을 내놨다. 1병에 3만3000원이나 하는 값비싼 맥주지만 판매한 지 6시간 만에 3000병을 완판했다. 맥주업계 관계자는 “현행 가격 정책 하에선 아무리 소비자들 요구가 많아도 원가 절감을 위해 가향을 첨가하거나 원료 값이 많이 들어가는 스타일의 맥주는 포기할 수밖에 없다”며 “소규모 맥주업체들은 이미 고사 직전으로 이대로 가다간 국내 맥주산업이 일부 대규모 주류 회사들만의 ‘독과점 무대’였던 과거를 답습할 수도 있다. 물량 공세가 어려운 수제맥주 업체들이 일시적 성과를 위해 ‘4캔 만원’ 시장으로 스스로 들어간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