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시 車부품 등 교역차질"
입력
수정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사태가 악화될 시 자동차부품, 화장품, 플라스틱 등의 품목 교역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국내 제조기업의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일부 희귀가스 수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 기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 등으로 악화될 시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우리나라의 대(對)러시아 수출이 크게 줄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2014년 당시 우리나라의 러시아 수출 규모는 101억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에는 47억달러로 전년 대비 53.7% 급감했다. 현재 러시아는 우리나라의 10위 교역대상국이다.
사태가 악화되면 우리 수출입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는 분야인 화장품(444개사), 기타플라스틱(239개사), 자동차부품(201개사) 등을 중심으로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오는 희귀 광물류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의 교역규모는 연간 9억달러(교역대상국 68위)에 불과하지만, 네온·크립톤·크세논 등의 품목 수입의존도는 각각 23%, 30.7%, 17.8%다.다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 수입의존도가 70%를 넘는 품목은 러시아 43개, 우크라이나 4개로 양국 전체 수입품 2418개 중 1.9%에 불과해 수입 단절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설명이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권 수출입 기업 8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기업들은 사태 악화 시 거래위축(22.7%), 루블화 환리스크(21%), 물류난(20.2%) 등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꽃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러시아가 일부 병력을 철수하며 긴장감은 완화됐으나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 의견 차이가 커 즉각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사태 인식, 경제제재에 따른 영향, 원자재 수급난 등을 고려해 정부의 긴밀한 모니터링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 기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면전 등으로 악화될 시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우리나라의 대(對)러시아 수출이 크게 줄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2014년 당시 우리나라의 러시아 수출 규모는 101억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에는 47억달러로 전년 대비 53.7% 급감했다. 현재 러시아는 우리나라의 10위 교역대상국이다.
사태가 악화되면 우리 수출입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는 분야인 화장품(444개사), 기타플라스틱(239개사), 자동차부품(201개사) 등을 중심으로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오는 희귀 광물류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의 교역규모는 연간 9억달러(교역대상국 68위)에 불과하지만, 네온·크립톤·크세논 등의 품목 수입의존도는 각각 23%, 30.7%, 17.8%다.다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 수입의존도가 70%를 넘는 품목은 러시아 43개, 우크라이나 4개로 양국 전체 수입품 2418개 중 1.9%에 불과해 수입 단절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설명이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권 수출입 기업 86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기업들은 사태 악화 시 거래위축(22.7%), 루블화 환리스크(21%), 물류난(20.2%) 등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꽃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러시아가 일부 병력을 철수하며 긴장감은 완화됐으나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 의견 차이가 커 즉각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사태 인식, 경제제재에 따른 영향, 원자재 수급난 등을 고려해 정부의 긴밀한 모니터링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