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월 사실상 기준금리 동결…두달 연속 인하 후 '숨고르기'
입력
수정
내달 양회 후 추가 완화 가능성도 관측 중국이 2월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월 1년 만기 LPR가 전달과 같은 3.7%로 집계됐다고 21일 발표했다.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주는 5년 만기 LPR도 4.6%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LPR는 명목상으로 시중 주택담보대출 동향을 취합한 수치지만 인민은행이 각종 통화정책 도구와 정책 지도 기능을 활용해 LPR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중에서는 사실상 중앙은행이 LPR를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앞서 인민은행은 작년 12월 1년 만기 LPR를 0.05%포인트 내린데 이어 올해 1월에는 1년 만기 LPR를 0.1%포인트, 5년 만기 LPR를 0.05%포인트 낮췄다.
중국이 LPR를 인하한 것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20개월 만에 처음이었다.
인민은행이 경기 회복을 지원하고자 미중 금리 격차 축소에 따른 부담을 감수하고 두 달 연속 LPR를 내린 가운데 시장에서는 당국이 유동성 공급 확대에 따른 효과를 일단 지켜보고 평가하는 차원에서 이달 LPR는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올해 경제 운영 방향을 확정하는 내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기점으로 작년 말부터 성장 지원 쪽으로 기울기 시작한 경제정책의 강도를 더욱 높여나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이 본격적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 예정이어서 중국의 금리 인하 공간이 넓지는 않지만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선 소폭이니마 금리와 지급준비율이 추가로 내려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의 심각한 위축과 초강경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등이 중국의 경제 회복 동력을 빠른 속도로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기저효과 덕에 작년 1분기 18.3%까지 올랐던 분기 성장률이 작년 2∼4분기 7.9%, 4.9%, 4.0%로 급락하면서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의 문을 열 중대 정치 행사인 올가을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5%대 성장 유지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중국 당국은 작년 12월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기점으로 '안정 최우선'을 경제 운영 기조로 삼은 가운데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잇따라 인하하고 경기 저점 고비가 될 1분기에 신속한 공공 인프라 투자 집행에 매달리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동력인 소비가 장기간 위축된 가운데 중국은 내달 양회를 기점으로 '제로 코로나'로 불리는 초강력 방역 정책을 부분적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주는 5년 만기 LPR도 4.6%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LPR는 명목상으로 시중 주택담보대출 동향을 취합한 수치지만 인민은행이 각종 통화정책 도구와 정책 지도 기능을 활용해 LPR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중에서는 사실상 중앙은행이 LPR를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앞서 인민은행은 작년 12월 1년 만기 LPR를 0.05%포인트 내린데 이어 올해 1월에는 1년 만기 LPR를 0.1%포인트, 5년 만기 LPR를 0.05%포인트 낮췄다.
중국이 LPR를 인하한 것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20개월 만에 처음이었다.
인민은행이 경기 회복을 지원하고자 미중 금리 격차 축소에 따른 부담을 감수하고 두 달 연속 LPR를 내린 가운데 시장에서는 당국이 유동성 공급 확대에 따른 효과를 일단 지켜보고 평가하는 차원에서 이달 LPR는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올해 경제 운영 방향을 확정하는 내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기점으로 작년 말부터 성장 지원 쪽으로 기울기 시작한 경제정책의 강도를 더욱 높여나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이 본격적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 예정이어서 중국의 금리 인하 공간이 넓지는 않지만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선 소폭이니마 금리와 지급준비율이 추가로 내려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의 심각한 위축과 초강경 '제로 코로나' 정책 유지 등이 중국의 경제 회복 동력을 빠른 속도로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기저효과 덕에 작년 1분기 18.3%까지 올랐던 분기 성장률이 작년 2∼4분기 7.9%, 4.9%, 4.0%로 급락하면서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의 문을 열 중대 정치 행사인 올가을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5%대 성장 유지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중국 당국은 작년 12월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기점으로 '안정 최우선'을 경제 운영 기조로 삼은 가운데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잇따라 인하하고 경기 저점 고비가 될 1분기에 신속한 공공 인프라 투자 집행에 매달리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동력인 소비가 장기간 위축된 가운데 중국은 내달 양회를 기점으로 '제로 코로나'로 불리는 초강력 방역 정책을 부분적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