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독감과 비슷? "백신 맞아도 60세 이상 치명률 독감의 최소 5배"
입력
수정
지면A4
22일 확진 17만명 '세계 최다'
부스터샷 맞은 60세 미만
치명률 0%로 낮지만
고령층은 안심할 수 없어
백신 지속효과도 불확실
위중증 급증 비상사태 우려
![23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주차장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전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사상 최다인 17만1452명을 기록했다. /김범준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AA.29044537.1.jpg)
60세 이상·미접종군 치명률 5.39%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3차 접종을 받은 접종 완료자의 경우 계절독감과 유사하거나 그 이하로 낮아진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이 작년 4월부터 올해 2월까지 코로나19 변이에 감염된 13만6000여 명을 조사한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08%였다. 계절독감 치명률이 0.05~0.1%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와 비슷한 것이다.하지만 연령별로 보면 치명률은 극명히 갈린다.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꼽히는 60세 이상은 백신을 3차까지 맞아도 치명률이 0.5%였다. 계절독감 평균 치명률의 5배 이상이다. 이에 비해 60세 미만은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치명률이 0%였다. 전문가들이 “60세 이상에겐 여전히 오미크론의 위험도가 높다”고 경고하는 배경이다.특히 60세 이상이면서 미접종인 사람은 치명률이 5.39%로 더 높았다. 이런 점을 들어 손 반장은 “더 많은 국민이 예방접종을 완료할수록 코로나19를 풍토병처럼 간주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SNS에 “오미크론 대응에 있어서 3차 접종이 중요하다”며 접종을 당부했다.
“사망 예방 효과 지속 불확실”
변수는 ‘백신의 사망 예방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접종 후 기간이 경과하면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2·3차 접종 후 돌파감염이 늘어난다”며 “사망 예방 효과가 어느 정도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3차 접종을 완료했더라도 추가 접종을 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예방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유행 규모도 또 다른 변수로 꼽힌다. 박 팀장은 “위중증률이 확실히 떨어져 계절독감과 유사하더라도 발생 규모가 크면 비상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며 “5000명이 발생할 때의 치명률 0.1%와 5만~15만 명이 발생할 때의 0.1%는 다르다”고 했다. 오미크론 치명률이 델타보다 낮다고 해도 전체 확진자 규모가 커지면 이와 비례해 위중증 환자·사망자도 급증해 의료 대란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실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약 한 달간 사망자는 1326명에 달했다. 방역당국이 계절독감의 연간 사망자가 3000~5000명이라고 밝힌 점을 감안하면 월평균 사망자가 250~416명 정도여야 하는데, 실제론 이보다 훨씬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확진자 17만 명…세계 최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정점을 향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22일 신규 확진자는 17만1452명이다. 기존 역대 최다치(17일·10만9822명)를 6만여 명 웃돌며 기록을 갈아치웠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국내 확진자는 독일(15만8507명), 러시아(13만5172명), 브라질(10만1285명) 등 각국의 21일(현지시간) 집계치를 앞지르며 세계 최다를 기록했다. 한국보다 인구가 6.5배 많은 미국의 하루 확진자(6만1863명)도 크게 웃돌았다.23일도 오후 9시까지 16만1382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24일 발표되는 최종 확진자는 18만 명 안팎을 기록할 전망이다. 질병관리청은 국내 신규 확진자가 세계 최다를 기록한 것에 대해 “대륙별로 유행 시기가 달라 확진자 수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