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北 규탄성명' 외면하더니…한국, 네 번만에 첫 동참

제프리 드로렌티스 주유엔 미국대표부 특별정무담당 선임고문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11개국이 동참한 대북 규탄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조현 주유엔 한국대사가 드로렌티스 선임고문 오른쪽에 서있다. 주유엔 미국대표부 웹사이트
한국이 올 들어 처음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국제사회의 공동성명에 참여했다. 11개국이 참여한 이번 공동성명에는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식(CVID)”이라는 표현이 담겼다. ‘대화 재개 모멘텀 유지’를 이유로 올 들어서만 세 차례에 걸쳐 대북 규탄 공동성명에 불참해온 한국이 국내외의 비판적인 여론을 의식해 돌연 입장을 바꿨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비공개 회의를 열고 북한이 지난달 27일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추정 미사일을 발사한데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안보리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비공개 회의를 가진 것은 올 들어 다섯 번째다.회의 직후 한·미·일 등 11개국 주유엔 대표들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여러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우리는 이러한 불법적이고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동을 가장 강한 표현으로 규탄한다”고 대북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조현 주유엔 한국대사는 성명문을 읽은 제프리 드로렌티스 주유엔 미국대표부 특별정무담당 선임고문 바로 왼쪽에 섰다.

한국이 올 들어서만 네 차례 진행된 안보리 차원의 대북 규탄 성명에 동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일본 영국 등 국제사회는 북한이 새해부터 8차례 미사일을 발사한데 대해 이날을 포함해 지난 1월 10일·20일, 지난달 4일 등 세 차례 장외에서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냈다.

하지만 외교부는 그동안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와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동력) 유지 필요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며 공동성명에 불참해왔다. 특히 이번 성명에는 정부가 그동안 북한이 민감해한다는 이유로 표현을 자제해온 북한에 대한 CVID 촉구도 담겼다. 정부는 돌연 입장을 바꾼데 대해 ‘상황의 심각성’을 언급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일 이번 성명에 동참한 이유에 대해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발사 및 심각성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이 지난 1월 30일 이번 미사일보다 비행거리가 월등히 길고 4년 간의 모라토리엄(핵실험·중장거리 미사일 발사 잠정 유예)을 파기하는 수준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을 발사했을 때도 공동성명에서 빠졌지만 이번엔 상황의 심각성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번 성명은 “북한의 행동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며 이번에는 호주, 뉴질랜드, 한국도 합류했다”는 내용까지 포함되며 한국이 그동안 소극적인 목소리를 내온 점도 우회 언급됐다.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북한의 연이은 무력 도발에 커지는 국내외의 비판 여론을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국제사회가 북·중·러 등 권위주의 국가들과 미국 중심으로 급격히 양분되고 있는 와중에 미국은 한국의 대러 제재 동참 모습에 실망을 드러냈다”며 “대선을 앞두고 터진 우크라이나 사태가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실패로 연계되는 여론도 의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