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귀농 자산관리 컨설팅…月100만원 청년지원금 확대 [강진규의 농식품+]
입력
수정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농협이 자산관리와 농지·주거 관련 컨설팅을 해준다. 귀농귀촌에 앞서 미리 살아보기 체험이 가능한 마을 수는 90개에서 110곳으로 늘어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3일 발표했다.
귀농귀촌 지원은 다섯 가지 분야에서 시행하기로 했다. 사전준비, 영농활동, 농촌 취업을 지원하고, 농촌 거주환경 개선 및 정보제공 등이다.귀농 사전 준비를 돕기 위해선 도시 지역에 있는 농협이 나선다. 전국 특·광역시(7개) 및 모든 시(78개) 지역의 농협(85곳)을 통해서 자산관리 및 농지·주거 관련 컨설팅, 교육을 제공한다. 최근 원자재값 상승으로 영농, 주거기반 마련에 어려움이 큰 만큼 귀농귀촌인이 보다 신중하게 따져보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다. 함께 귀농하려는 도시민 커뮤니티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해 처음 시행한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도 확대한다. 지난해 전국 88개 시군에서 104개 마을이 참여했는데, 올해는 95개 시군 110개 마을로 늘어난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농촌에서 살아봤던 649가구 중 73가구가 실제 농촌에 전입했다.
귀촌인의 취업과 창업도 지원한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일자리 지원사업과 연계하고, 이주 전 경력을 활용한 신규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귀농인의 영농 지원을 위해 농협 조합원이 농사 지도를 해주는 사업도 추진한다. 청년 귀농인에게 월 100만원을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대상은 1800명에서 2000명으로 늘린다.농촌의 환경 개선 사업도 진행한다. 축사와 공장 시설을 재배치해 농촌을 쾌적하고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각 부처·지자체의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등 광범위한 정보·서비스를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통합 제공하는 ‘귀농귀촌 플랫폼'도 올해 시범서비를 시작한다.
정현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제2차 귀농귀촌 종합계획은 사전에 귀농귀촌 준비를 꼼꼼하게 할 수 있도록 돕고, 귀농귀촌인의 수요가 큰 일자리 확보, 영농활동 지원,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관계부처 및 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연차별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해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귀농귀촌 지원은 다섯 가지 분야에서 시행하기로 했다. 사전준비, 영농활동, 농촌 취업을 지원하고, 농촌 거주환경 개선 및 정보제공 등이다.귀농 사전 준비를 돕기 위해선 도시 지역에 있는 농협이 나선다. 전국 특·광역시(7개) 및 모든 시(78개) 지역의 농협(85곳)을 통해서 자산관리 및 농지·주거 관련 컨설팅, 교육을 제공한다. 최근 원자재값 상승으로 영농, 주거기반 마련에 어려움이 큰 만큼 귀농귀촌인이 보다 신중하게 따져보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다. 함께 귀농하려는 도시민 커뮤니티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해 처음 시행한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도 확대한다. 지난해 전국 88개 시군에서 104개 마을이 참여했는데, 올해는 95개 시군 110개 마을로 늘어난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농촌에서 살아봤던 649가구 중 73가구가 실제 농촌에 전입했다.
귀촌인의 취업과 창업도 지원한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일자리 지원사업과 연계하고, 이주 전 경력을 활용한 신규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귀농인의 영농 지원을 위해 농협 조합원이 농사 지도를 해주는 사업도 추진한다. 청년 귀농인에게 월 100만원을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 지원 대상은 1800명에서 2000명으로 늘린다.농촌의 환경 개선 사업도 진행한다. 축사와 공장 시설을 재배치해 농촌을 쾌적하고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각 부처·지자체의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등 광범위한 정보·서비스를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계하여 통합 제공하는 ‘귀농귀촌 플랫폼'도 올해 시범서비를 시작한다.
정현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제2차 귀농귀촌 종합계획은 사전에 귀농귀촌 준비를 꼼꼼하게 할 수 있도록 돕고, 귀농귀촌인의 수요가 큰 일자리 확보, 영농활동 지원,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관계부처 및 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연차별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해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