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형펀드·金도 주목할 만"
입력
수정
지면A26
은행 PB들이 꼽은 유망 상품올 들어 글로벌 인플레이션 기조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금융자산의 실질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데다 인플레를 막기 위한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움직임으로 주식 등 위험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 프라이빗뱅커(PB)들은 이런 상황에서 투자할 만한 ‘인플레 방어 자산’으로 채권형펀드나 원자재, 리츠(REITs), 물가연동채권, 금 등을 꼽았다.

높아진 변동성으로 가격 메리트가 높아진 주가연계증권(ELS)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온다. 김 전문위원은 “ELS는 전통적인 인플레 방어 상품은 아니지만 최근 연 5~6%대로 수익률이 높아졌다는 장점이 크다”고 설명했다.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투자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박현식 하나은행 투자전략섹션 팀장은 “안전자산으로서 금 매력이 부각돼 이미 가격이 많이 올랐다”며 “추격 매수를 하기엔 부담스러운 수준인 게 사실”이라고 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국제 금 시세는 트로이온스당 1942.9달러로 한 달 전에 비해 10% 이상 올랐다.
반면 허도경 신한PWM목동센터 PB팀장은 “저가 분할 매수로 리스크를 낮추되 거래비용이 높은 골드바보다는 금통장(골드뱅킹) 등을 활용하는 게 좋다”고 추천했다. 한수연 우리은행 강남TCE센터 부지점장도 “금과 달러는 최악의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보유하는 게 좋다”며 “미국 ETF에 투자하면서 환 변동에 오픈된 ‘언헤지’ 상품을 선택하면 달러에 투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했다.
빈난새/박진우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