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우크라 사태 피해 접수 사흘 만에 44건…대금지연 70%

중기부, 비상대응 TF 회의 개최
수출·금융·원자재 분야별 맞춤지원
현장 밀착 관리체계 구축 집중
7일 세종시 중소벤처기업부 중기마루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중소기업 분야 비상대응 TF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중기부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격화되는 가운데 러시아 현지 업체의 대금 결제 지연 등으로 인해 피해를 호소하는 수출 중소기업들이 늘고 있다. 정부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출·금융 등 분야별 맞춤 지원에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일부터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중소기업 피해접수센터를 통해 총 44건의 신고를 접수했다고 7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화학 14건, 금속 11건 등 제조업이 31개로 비교적 많았다. 유통 업종은 농축산물 6개 등 총 13개로 집계됐다.피해 유형별로는 대금 미회수 관련 피해가 70%(31건)로 가장 많았다. 예컨대 기계제조 업체 A사는 러시아 공장에 계약된 장비를 출하하는 중 러시아 국책은행과 자회사가 제재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대금 지급이 어렵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처럼 러시아 은행 제재, SWIFT 배제 및 루블화 절하로 러시아 바이어가 대금 결제를 지연하거나 거절한 사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물류 지연·중단은 11%(5건)를 차지했다. 기계제조 업체 B사는 수출품 선적 후 결제 진행 중 우크라이나 사태가 발생하면서 항공편이 막히고 물류회사 보이콧 등으로 러시아 진입이 불가능한 처지가 됐다. 이런 업체들은 선적 대기 및 회항으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도 우려하고 있다.

계약 및 납품 보류·중단에 따른 수출감소는 9%(4건)로 집계됐다. 화장품 전문업체 C사는 러시아 바이어와 올해 총 30만 달러 수출 계약을 맺고, 1차로 8만 달러분을 출하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남은 물량 출하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일부 업체는 원자재 수급난도 호소하고 있다. 식품업체인 E사는 우크라이나에 선금을 지급했으나 전쟁으로 물품을 받지 못해 러시아산 희귀가스를 수입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중기부는 이날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중소기업 분야 비상 대응 TF' 1차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중소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출·금융·원자재 등 피해 분야별 맞춤지원과 현장 밀착 관리체계 구축에 집중할 방침이다.

우선 수출기업에 긴급경영안정자금(2022년 2000억원)을 통한 융자를 지원한다. 대상은 2021년 러·우 수출 비중 30% 이상인 1800여 사업체로, 기업당 최대 10억원을 지원한다. 또 특례보증 신설·우대, 기존 융자·보증에 대한 만기연장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러‧우 수출감소 기업 대상으로 대체 거래선(바이어) 발굴‧알선을 지원하고, 수출 다변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 홍보, 바이어 발굴, 전시회, 물류, 인증 등 정책 패키지를 제공한다. 러‧우 수출 관련 반송물류비, 지체로 등을 수출바우처 지원범위에 포함해 손해를 보전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원자재 분야에선 공급망 모니터링을 통해 부족 발생 시 범정부 TF를 통해 공동대응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 시 납품단가 조정제도 활용을 지원한다.현장 밀착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러‧우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약 1000개 중소기업은 비상연락망을 구축, 100% 의존 316개는 전담관을 통해 선제적 관리를 실시한다. 지난 2일부터 운영 중인 중소기업 피해 접수센터 60개 소를 통해 중소기업 애로·피해를 접수해 자체 지원 및 범부처 협력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강성천 중기부 차관은 "비상 대응 체계를 긴밀히 유지하고, 타격이 우려되는 중소기업군에 대한 선제점 점검과 실태조사, 현장애로 과제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이라며 "중기부와 유관기관들은 각별한 경각심과 긴장감을 가지고 중소기업 분야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