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파견으로 승승장구할 금융위 공무원은 누구? [이호기의 금융형통]
입력
수정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대 대선이 결국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당선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이제 곧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출범할 텐데요.
지난 19대 대선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인수위 없이 곧바로 취임했던 만큼 인수위가 발족하는 것은 2013년 이후 9년만입니다. 이번 인수위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 등 7개 분과로 구성될 예정인데요.
각 분과별로 간사를 제외하고 2명의 인수위원(총 24명)이 선임되고 이들을 총괄하는 인수위원장과 부위원장도 1명씩 임명될 전망입니다.
인수위의 역할은 물론 각 부처별로 주요 업무를 인수인계받는 것입니다. 즉 각 분과에서 담당 부처별로 업무보고를 받고 당선인 공약의 실현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게 됩니다. 현행법상 정부 조직은 18부 5처, 18청, 2원, 4실, 7위원회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들 54개 기관을 대상으로 약 두달간 이 같은 작업을 모두 완료해야 하는 셈입니다.
이를 위해 인수위의 각 분과별로 각 부처 파견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함께 작업을 진행하는데요. 이들을 전문위원이라고 부릅니다. 인수위원과 전문위원을 합친 전체 인수위 규모는 약 150명 정도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각 부처에서 파견되는 공무원이래봤자 기껏해야 1~2명에 불과할 수밖에 없습니다. 금융위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약 300명 가량의 소속 공무원 가운데 인수위에 파견되는 공무원은 단 1명입니다. 서슬 퍼런 금융감독원조차 정부 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파견 인원은 아예 '제로'이지요.
그렇다면 이번엔 누가 영예를 안게 될까요. 물론 인수위와 자신의 소속 부처 간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만큼 '에이스 오브 에이스'를 보내지 않을 수 없겠죠. 실력도 갖춰야겠지만 당선인이나 캠프 핵심 인사들과의 인연 역시 상당히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인수위엔 누가 파견갔을까요. 금융위원회가 출범한 게 이명박 정부 때이니 그 이후인 박근혜 정부 인수위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3년 금융위 출신 인수위 경제1분과 전문위원으로는 정은보 당시 사무처장(현 금감원장)이 뽑혔습니다. 사무처장은 위원장(장관)과 부위원장(차관)을 제외한 최고위직으로 같은 직급(1급)이 금융위 내에서도 단 4개 뿐입니다.
문재인 정부 땐 공식적으로 인수위가 없었지만 한시 조직인 국정기획자문위가 설치돼 비슷한 역할을 담당했는데요. 당시 국정기획자문위에 파견된 금융위 공무원은 박정훈 금융현장지원단장(국장급)으로, 박근혜 정부 때보다 직급이 다소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승은(?)을 입은 이들 전문위원은 물론 당시 대통령 임기 내내 요직을 옮겨다니며 활약을 펼치게 됩니다.
정은보 전 위원은 인수위 활동이 종료되고 기획재정부 차관보로 영전한 뒤 금융위 부위원장까지 올랐고, 박정훈 전 위원도 곧바로 핵심 국장 보직 중 하나인 자본시장정책관을 꿰찼습니다. 이후에도 기획조정관, 더불어민주당 수석전문위원을 거쳐 금융위 상임위원(1급)까지 됐지요.
현재 금융위에서도 당시 박정훈 전 위원과 비슷한 직급에서 적임자를 찾고 있는데요. 현 금융위 최고 실세로 손꼽히는 A국장이나 한 연구기관에 파견 근무중인 B국장 등이 물망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물론 최종 인선까지는 금융위 추천 뿐만 아니라 경제1분과 인수위원과 인수위 구성의 총괄 책임자인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의 재가까지 통과해야 하는 만큼 그리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차기 정부의 금융위에서 핵심 실세가 될 금융위 소속 인수위 전문위원은 다음주께 확정될 예정입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지난 19대 대선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인수위 없이 곧바로 취임했던 만큼 인수위가 발족하는 것은 2013년 이후 9년만입니다. 이번 인수위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 등 7개 분과로 구성될 예정인데요.
각 분과별로 간사를 제외하고 2명의 인수위원(총 24명)이 선임되고 이들을 총괄하는 인수위원장과 부위원장도 1명씩 임명될 전망입니다.
인수위의 역할은 물론 각 부처별로 주요 업무를 인수인계받는 것입니다. 즉 각 분과에서 담당 부처별로 업무보고를 받고 당선인 공약의 실현가능성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게 됩니다. 현행법상 정부 조직은 18부 5처, 18청, 2원, 4실, 7위원회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들 54개 기관을 대상으로 약 두달간 이 같은 작업을 모두 완료해야 하는 셈입니다.
이를 위해 인수위의 각 분과별로 각 부처 파견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함께 작업을 진행하는데요. 이들을 전문위원이라고 부릅니다. 인수위원과 전문위원을 합친 전체 인수위 규모는 약 150명 정도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각 부처에서 파견되는 공무원이래봤자 기껏해야 1~2명에 불과할 수밖에 없습니다. 금융위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약 300명 가량의 소속 공무원 가운데 인수위에 파견되는 공무원은 단 1명입니다. 서슬 퍼런 금융감독원조차 정부 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파견 인원은 아예 '제로'이지요.
그렇다면 이번엔 누가 영예를 안게 될까요. 물론 인수위와 자신의 소속 부처 간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만큼 '에이스 오브 에이스'를 보내지 않을 수 없겠죠. 실력도 갖춰야겠지만 당선인이나 캠프 핵심 인사들과의 인연 역시 상당히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인수위엔 누가 파견갔을까요. 금융위원회가 출범한 게 이명박 정부 때이니 그 이후인 박근혜 정부 인수위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2013년 금융위 출신 인수위 경제1분과 전문위원으로는 정은보 당시 사무처장(현 금감원장)이 뽑혔습니다. 사무처장은 위원장(장관)과 부위원장(차관)을 제외한 최고위직으로 같은 직급(1급)이 금융위 내에서도 단 4개 뿐입니다.
문재인 정부 땐 공식적으로 인수위가 없었지만 한시 조직인 국정기획자문위가 설치돼 비슷한 역할을 담당했는데요. 당시 국정기획자문위에 파견된 금융위 공무원은 박정훈 금융현장지원단장(국장급)으로, 박근혜 정부 때보다 직급이 다소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승은(?)을 입은 이들 전문위원은 물론 당시 대통령 임기 내내 요직을 옮겨다니며 활약을 펼치게 됩니다.
정은보 전 위원은 인수위 활동이 종료되고 기획재정부 차관보로 영전한 뒤 금융위 부위원장까지 올랐고, 박정훈 전 위원도 곧바로 핵심 국장 보직 중 하나인 자본시장정책관을 꿰찼습니다. 이후에도 기획조정관, 더불어민주당 수석전문위원을 거쳐 금융위 상임위원(1급)까지 됐지요.
현재 금융위에서도 당시 박정훈 전 위원과 비슷한 직급에서 적임자를 찾고 있는데요. 현 금융위 최고 실세로 손꼽히는 A국장이나 한 연구기관에 파견 근무중인 B국장 등이 물망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물론 최종 인선까지는 금융위 추천 뿐만 아니라 경제1분과 인수위원과 인수위 구성의 총괄 책임자인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의 재가까지 통과해야 하는 만큼 그리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차기 정부의 금융위에서 핵심 실세가 될 금융위 소속 인수위 전문위원은 다음주께 확정될 예정입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