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찬의 무릎관절 이야기] 관절염 진단 때 꼭 MRI를 찍는 경우
입력
수정
지면A37

진료 중에는 MRI를 찍는 경우가 많다. 때에 따라서는 엑스레이와 MRI 외에 혈액검사나 다른 신경 검사를 하기도 한다. 환자 입장에서 보면 왜 이런 검사를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과잉 진료 아니냐’는 의심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엑스레이만 찍고 MRI 검사는 하지 않아도 되는 환자도 있다. 아픈 지 얼마 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굳이 MRI를 찍지 않아도 증상이나 아픈 기간, 통증의 양상을 보고 판단이 가능하다. 반면 오랫동안 참고 참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거나 병원을 여기저기 옮겨 다니다 제때 꾸준히 치료받지 않은 환자는 대부분 증상이 심해지고, 질환 양상이 다양하고 복잡해져 MRI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엑스레이 검사는 주로 뼈의 상태를 보여준다. 뼈의 골극(뼈 돌기)이 있는지, 뼈가 얼마나 변형됐는지, 뼈와 뼈 사이가 얼마나 좁아졌는지 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엑스레이는 뼈 이외의 골연골, 반월상 연골판, 인대, 근육, 신경 등 관절 주변 조직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런 정보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MRI 검사가 꼭 필요하다. 즉 MRI는 엑스레이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물을 세밀하게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외에 혈액검사를 하기도 한다. 염증 수치가 얼마나 높은지, 류머티즘 관절염 인자가 있는지, 통풍성 관절염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요산 수치가 높은지 등을 판단한다. 모든 검사는 저마다의 목적이 있고,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시행한다. 특히 MRI는 관절염을 진단할 때 꼭 필요한 연골의 상태와 인대 등 관절 주변의 구조물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검사다. 시간이 흐르면 관절 상태 또한 달라지니 MRI 검사를 다시 해야 할 수도 있다. 좋은 의사는 무엇보다 환자를 잘 치료하는 것이다. MRI 검사를 권한다고 무조건 과잉 진료라고 단정 짓고 오해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