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커지는 '산불 피해'…직접 손실액만 1조 육박

'역대 최장' 울진산불 주불 진화
서울 면적의 41%가 '잿더미'로
농업시설 등 피해규모만 1700억

기후변화·人災가 원인
건조한 날씨에 나무 바짝 말라
담뱃불·소각 등 '부주의'도 급증

입산자 대상 예방교육 강화
소방차 진입 가능한 '임도' 확충
불 잘 안붙는 활엽수 조성도 과제
정부가 13일 오전 9시를 기해 경북과 강원 동해안에 내렸던 ‘재난사태’를 해제했다. 지난 4일 발생한 경북 울진 산불의 주불이 213시간 만에 잡혔기 때문이다. 이번 산불은 역대 최장기간 이어져 최대 피해를 안긴 산불로 기록됐다.

서울 면적 41.2% 태워

최병암 산림청장은 이날 현장지휘본부 브리핑에서 “9일간 이어진 울진 산불의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며 “진화 소요 시간은 13일 오전 9시까지 총 213시간에 달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4일 오후 10시 경북·강원 산불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인력·장비·물자 동원, 위험구역 설정 등 긴급 조치를 취했다. 경북 지역에 전국 소방 차량 등 장비 2599대와 총 6972명이 동원됐다.

산불 진화를 위해 꾸렸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중앙수습복구지원본부로 전환했다. 정부 차원의 산불 피해 복구 계획은 다음달 초 내놓기로 했다.

이번 산불은 1986년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 피해를 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림 피해 면적은 총 2만4940㏊로 추정된다. 서울시 면적(6만520㏊)의 41.2%로, 이전 최대 산불인 2000년 동해안 산불(2만3794㏊)을 넘어섰다.

갈수록 피해 커지는 산불

산림당국은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등산객의 구조적 증가 추세, 기후 변화 등의 요인으로 산불이 갈수록 빈번해지고 커지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1월 1일~3월 15일에 발생한 산불은 2020년 80건→2021년 126건→2022년 245건으로 불어났다. 산림청이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설정한 2월 1일~5월 15일 중 4~5월에 등산객이 급증하는 만큼 이미 사상 최대 산불이 발생한 올해는 예년에 비해 피해가 훨씬 더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구 온난화도 산불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기온이 오르면 토양의 수분이 더 많이 증발하게 된다. 나무들이 바짝 말라 산불의 연료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와 토지 사용 변화로 2030년까지 극한 산불이 최대 14% 증가하는 등 산불이 더 빈번하고 강렬해질 것”이라고 지난달 발표했다.

경제적 피해도 크다. 행안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1~2020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주택 소실 등 직접적 경제 피해 규모는 6758억원이다. 이번 산불 피해(추산액 1700억원)를 더하면 그 액수는 8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일각에서는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여기에 송이버섯 등 산불 발생 지역 내 임산물과 소나무 피해 등을 더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진다. 당장 이번 산불로 지난해 전국 송이버섯 채취량(10만2193㎏)의 약 10%를 차지한 울진 지역 송이버섯 산지가 초토화됐다. 조달청 고시가격 기준으로 그루당 18만~1650만원인 소나무 피해액도 수백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된다.

울진군은 신한울 원전 3·4호기 공사 중단 등의 여파로 재정자립도가 2017년 17.4%에서 지난해 14.6%로 떨어졌다. 이런 가운데 초대형 산불로 인해 추가 재원 소요가 발생한 만큼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근본적 해결책 고민할 때”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고민해봐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산불 예방 교육을 강화하는 게 첫 번째로 꼽힌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낙뢰 등 자연현상으로 발생한 산불은 연평균 4건뿐이다. 이 기간에 발생한 산불 연평균 481건 중 336건 이상은 입산자·소각·담뱃불·성묘객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산불이 났을 때 빠르게 진화할 수 있도록 임도(林道)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전 세계 주요국의 ㏊당 임도는 △독일 46m △오스트리아 45m △일본 13m 등이다. 한국은 지난해 말 기준 3.81m에 불과하다. 시민환경단체가 산림을 훼손한다고 임도 개설을 반대하는 탓이다.

수종을 다변화하는 것도 방법으로 꼽힌다. 한국의 산림 중 37%는 소나무 중심의 침엽수림이다. 소나무에는 송진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여기에는 ‘테라핀’ 같은 정유 물질이 20% 이상 포함돼 있다. 불이 잘 붙지 않는 내화수림(활엽수림)을 조성하면 산불 강도가 60% 이상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정지은/대전=임호범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