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깊어진 삼성과 개미들…16일 주총 긴장감 고조
입력
수정
삼성전자 주주총회 D-2삼성전자 주주총회가 오는 16일로 임박한 가운데 큰 진통이 예상된다. 소액주주들이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 부결 운동을 펴고 트럭 시위까지 예고하는 등 단단히 벼르고 있어서다. 여기에 주요 주주인 국민연금까지 여러 사내외이사 선임 안건에 반대표를 던지고 나섰다.
GOS 사태부터 주가 부진까지…
소액주주 성토장 될 듯
"주총장서 선제적 해명·사과 필요"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14분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과 변동 없는 7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장중 한때 6만9600원까지 내리는 등 좀처럼 7만원에 안착하지 못하는 모습이다.이날도 삼성전자 제품 이용자 커뮤니티인 삼성멤버스를 비롯해 각종 커뮤니티에는 주총 당일 경영진과의 일전을 벼르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홈페이지엔 '주주총회 때 심판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 '주가 흐름이 안 좋으면 제품 관리라도 잘 해야지', '경영진을 믿을 수 없다. 반대표로 합심해서 우리가 직접 주가 살려내야 한다', '주총 반대표도 던졌고 소송도 참여하려 한다' 등의 성토 글이 봇물을 이뤘다. 심지어는 '오프라인 주총에 가서 경영진 혼쭐낼 의인 없느냐'며 대표로 항의할 주주들을 구하는 글도 여럿 이어졌다.
이전에도 주총 시즌에 삼성전자의 주가 부진은 있었다. 그럼에도 개인투자자(개미)들은 '삼성전자는 자식에게 주는 주식'이라는 믿음을 보여줬고, 삼성 또한 주주들의 신뢰를 높이는 정책을 내놓곤 했었다.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 지속된 주가 부진과 더불어 이른바 '게임 최적화 서비스'(GOS) 사태가 갈등을 부추겼다.삼성전자는 새 스마트폰 모델인 '갤럭시S22'를 출시하면서 과도한 발열을 막기 위해 해상도나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주된 성능을 제한하는 GOS 기능을 탑재했다. 이전까지는 GOS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었지만 이번 최신 운영체제인 'ONE UI 4.0'부터는 마음대로 비활성화할 수도 없다. 여기에 불만을 품은 주주들은 스마트폰 사업의 수장인 노 사장의 이사 선임안에 대한 반대투표 인증글을 공유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11일 뒤늦게 GOS 강제 실행 기능을 해제하는 등 수습에 나섰지만 비판 여론은 여전히 거세다. 사태 초반의 주주행동이 반대투표 인증글을 올리는 등 비교적 소극적인 움직임에 그쳤다면 최근 들어선 집단소송으로 확대됐다. 7400여명이 가입한 네이버 카페 '갤럭시 GOS 집단소송 준비방'에선 법무법인 에이파트와 함께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소송 참여자는 2000명 안팎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카페 운영진을 주축으로 주총 당일 열릴 트럭시위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큰 손' 국민연금까지 제동을 걸었다. 국민연금은 최근 공시를 통해 경계현·박학규 후보에 대해선 '기업가치 훼손과 주주권익 침해 이력'을 이유로, 김한조·김종훈 후보에 대해서는 '기업가치 훼손과 주주권익 침해행위에 대한 감시 의무 소홀'을 들어 선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작년 말 기준 국민연금의 삼성전자 지분은 8.69%로 이번 반대표가 힘을 발휘할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새 이사진 선임이 이번 주주총회의 핵심 안건인 만큼 대부분의 사내외이사 선임 안건이 낮은 찬성률로 가결될 경우 경영진으로서는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주총 현장에선 1년 내내 이렇다할 반등 없이 부진했던 주가에 대한 책임론도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주가는 작년 10월 6만원선을 기록한 뒤 메모리 반도체 업황 기대감을 받으며 주가 회복의 기미를 보였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분위기에 다시 고꾸라지면서 '7만전자' 사수조차 위태로운 상황이다. 작년 초 9만6800원까지 치솟으며 '10만 전자'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노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직접 주총장에서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해명하고 사과하는 등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승재 법무법인 클라스 변호사(전 대한변협 법제연구원장)는 "이번 GOS 사태만 봐도 삼성전자의 대응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 같다"며 "해명을 요구하는 주주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도 좋겠지만, 그보다는 의장과 임원진들이 논란을 먼저 해명하고 관련 대응책까지 내놓는 게 좋은 그림일 것이다. 주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