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창리 아닌 순안비행장서 ICBM 쏘나…"발사 징후 포착"

북한 평양비행장 북쪽 활주로에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TEL) 차량 설치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 지지대'가 증설됐다. 사진은 지구관측위성 '센티널-2A'가 지난 6일(왼쪽)과 11일 각각 촬영한 순안공항 북쪽 활주로 일대 위성사진./ 뉴스1
북한이 평양 순안비행장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 것이 포착됐다. 북한의 고강도 도발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미국은 중국의 적극적 대북 관여를 압박하고 나섰다. 한·미의 전방위적 압박에도 북한이 고강도 도발을 준비하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며 한반도 정세가 ‘강대강’으로 치닫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15일 위성서비스 업체 ‘플래닛 랩스’가 지난 12일 촬영한 순안비행장 위성 사진에 2개의 새로운 콘크리트 토대가 설치된 것이 포착됐다고 보도했다. 각각 폭 50m에 길이 220m, 100m 규모의 콘크리트 토대는 북한이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미사일을 쏠 때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지난 8~9일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구조물은 순안공항 북쪽의 활주로와 유도로 사이에 자리한 것으로 나타났다.콘크리트 토대 설치는 명확한 ICBM 발사 징후로 평가된다. 지반이 연약한 장소에서 미사일을 발사할 때 TEL이 망가지거나 미사일 궤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앞서 북한은 2017년 7월 ICBM ‘화성-14형’, 같은해 11월 ICBM ‘화성-15형’도 미리 만든 콘크리트 토대 위에 올린 TEL에서 발사했다. 브루스 배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VOA에 “연료가 가득한 미사일을 실을 경우 TEL은 매우 무거워진다”며 “ICBM과 같은 대형 미사일이 발사될 때 이를 견딜 수 있는 토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재차 중국에 대북 압박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과 만난 후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의 최근 긴장 조성행위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류샤오밍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의 통화에서 중국의 적극적인 대북 관여를 촉구했는데. 보다 고위급에서도 이같은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북한이 순안비행장을 택한 것은 한·미를 강도높게 압박하기 위한 전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ICBM 성능시험을 위한 미사일 도발 때도 순안비행장을 이용했다. 북한은 연이은 도발을 ‘정찰위성 발사’ 차원이라 주장해왔는데, 위성 발사에는 고정발사대가 필요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을 현장시찰하기도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뒤가 안 맞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순안비행장은 다른 곳들과 달리 개활지라 한·미가 감시·정찰하기도 더욱 쉽기 때문에 북한이 보란듯이 하고 있는 가능성이 크다”며 “TEL에서 발사하고 위성이라 주장하긴 어렵기 때문에 무력 긴장을 크게 조성해 한·미를 압박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